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또는 간략히 UDC 2019(Upbit Developer Conference 2019)는 2019년 9월 4일(수) ~ 5일(목) 이틀간 인천광역시 영종도에 있는 그랜드하얏트호텔 인천에서 개최된 업비트의 블록체인 행사이다.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는 블록체인 개발자들의 지식 공유와 자유로운 토론, 다양한 네트워킹, 예비 개발자들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들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개발자 중심의 콘퍼런스이다. 이 행사는 업비트(Upbit) 거래소를 운영하는 두나무㈜ 회사가 주최하는 행사이다. 제1회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는 2018년 제주도에서 개최되었다. 제2회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는 2019년 9월 04일(수) ~ 5일(목)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해안남로 321번길 208 그랜드하얏트호텔 인천에서 진행되었다.
케빈 아보시(Kevin Abosch) : 스튜디오 케빈 아보시(Studio Kevin Abosch)의 작가로서, 아이엠어코인(IAMA Coin)을 발행했다. 그는 정체성과 가치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개념 예술가로, 자신의 작품을 통해 존재론적 질문을 다루고 사회적 딜레마에 대응해오고 있다.
리몬 베어드(Leemon Baird) : 블록체인 기술을 뛰어넘는 차세대 알고리즘인 해시그래프(Hashgraph)의 창시자 겸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의 공동 창업자 겸 기술이사(CTO)이다. 동료인 맨스 하몬(Mance Harmon)과 함께 헤데라 해시그래프 회사를 공동 창업했으며 20년 이상 기술 및 스타트업 분야에서 경력을 쌓아 미국 공군사관학교의 컴퓨터과학부 교수와 함께 여러 연구소의 선임 과학자로 활동한 바 있다.
알렉산더 홉트너(Alexander Höptner) : 독일에서 두 번째로 큰 증권 거래소 보어 슈투트가르트(Boerse Stuttgart)의 대표이사이다. 그는 2017년 1월 1일 보여 슈투트가르트 경영 이사회에 선임되었으며 프라이머리 마켓,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디지털라이제이션 등의 사업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샘슨 모우(Samson Mow) : 비트코인 프로토콜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블록스트림(Blockstream)의 보안 담당 최고 책임자(CSO)이다. 분산화의 중요성과 프로토콜 개발 시 보안 우선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비트코인 커뮤니티 내에서 주요 개발자로 자리 잡았다.
비노드 티와리(Vinod Tiwari) : 블록체인 기반의 에너지 산업을 위한 암호화폐인 파워렛저(PowerLedger)의 사업총괄 실장으로서, 회사에서 비즈니스 개발과 판매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그는 퍼스 에너지, 퓨처 이펙트, 레건 파워 등에서 수년간 에너지 사업 분야를 담당한 경험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 거래 플랫폼, 신재생 에너지 인증서 거래 및 자산 금융 등 파워렛저의 블록체인 기술을 호주 및 글로벌 시장에 확산해 나가고 있다.
미치 류(Mitch Liu) : 블록체인 기반의 동영상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쎄타(Theta)를 개발한 쎄타랩스(Theta Labs)와 그 모회사인 슬리버 티비(SLIVER.tv)의 공동 설립자이자 대표이다. 그는 2010년 게임뷰스튜디오(Gameview Studios) 설립 후 모바일 게임 탭피쉬(Tap Fish)를 크게 성공시키며 단 6개월 만에 일본 대표 게임회사인 디나(DeNA)에 인수되었다.
테드 인(Ted Yin ) :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업체인 아바랩스(Abalabs)의 수석 프로토콜 아키텍트 겸 공동설립자이다. 그는 코넬대학교에서 에민 귄 시러(Emin Gün Sirer)교수와 로버트 반 레네세(Robbert van Renesse) 교수의 지도하에 컴퓨터 박사과정 3년 차를 밟고 있으며 달리아 말키(Dahlia Malkhi) 박사와 긴밀한 협력체제 하에 일하고 있다. 디자인과 실용적 분산시스템 구축이 관심사로 최근에는 내 결함성 문제, 합의 프로토콜, P2P 시스템에 좀 더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업적으로는 스노우(Snow) 및 애벌런치 프로토콜(avalanche protocol)과 핫스터프 프로토콜(hotstuff protocol) 등이 있다.
얀 주(Yan Zhu) : 브레이브 브라우저(Brave Browser)와 베이직어텐션토큰(BAT)을 개발한 브레이브 소프트웨어(Brave Software)의 보안연구원 겸 최고 정보 보안 책임자이다. 얀은 Let's Encrypt, HTTPS Everywhere, SecureDrop, Privacy Badger를 포함한 다양한 오픈소스 보안 및 개인정보 프로젝트 업무를 담당하였다.
에브 쿼크(eV Quirk) : 베이직어텐션토큰(BAT)을 만든 브레이브 소프트웨어(Brave Software)의 수석 엔지니어다. 이전에 시스코(CISCO)와 스파이어 글로벌(Spire Global)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었다. 현재 BAT 아키텍처와 백엔드 시스템을 담당하고 있고, 차기 프로젝트인 'Gemini' 설계를 담당하고 있으며 Brave Rewards의 백엔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후만 하다드(Houman Haddad) : 후만 하다드는 유엔세계식량계획의 이머징 테크놀로지 실장이다. 세계식량계획(WFP)는 기아 퇴치를 위한 유엔의 식량 지원 기관으로, 후만은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부처간 협조를 이끌어내고 영향력과 책임감을 높이는 동시에 비용과 위험을 줄여 CBT(Cash-Based Transfer)를 개선하고자 "빌딩 블록"(Building Blocks) 프로젝트를 개발하였다.
얀 융에(Jan Junge): 얀 융에는 독일 다임러 모빌리티의 블록체인 팩토리에서 블록체인 개발 겸 제품 책임을 담당하고 있다. 메르세데스 벤츠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개발자로 근무하는 등 자동차 분야에서 수년간 몸담기도 했다. 이후 크립토 자산에 자동화 전략을 적용하는 크립토 핀테크 기업 트레이드 포워드(Trade Forward)를 공동 설립한 바 있다.
티모시 리(Timothy Li) : 티모시 리는 쎄타랩스(Theta Labs)의 플랫폼 총괄 책임자이다. 그는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학사, 시카고 대학교 석사를 받았으며, 앤드리슨 호로위치, 히어, 액센추어랩에서 근무했다. 그는 블록체인, 자율주행, 클라우드소싱 등 신기술에 대한 폭넓은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쎄타랩스에서 플랫폼 전략과 파트너십 인게이지먼트를 담당하고 있다.
송치형 : 한국의 대표적인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Upbit)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창업자 겸 이사회 의장이다. 그는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전공하고 경제학부를 부전공했다. 2017년 9월 그는 미국 비트렉스와 제휴하여 업비트를 오픈했다. 업비트는 오픈 직후 빗썸을 누르고 한국 1위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성장했고, 한때 거래금액 기준으로 세계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2018년 송치형은 카카오 출신의 이석우에게 대표이사 자리를 넘기고 회사의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다.
이석우 :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대표이사이다.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면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카카오에서 카카오톡을 국민 메신저로 만드는데 크게 기여하고 다음과의 합병에도 한 축을 담당하여 다음카카오의 공동대표를 지내다가 두나무의 대표이사 자리를 제의받아 현재 대표이사로 국내 블록체인 사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박재현(Jay Park) :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이자 블록체인 플랫폼인 루니버스(Luniverse)를 개발하고 있는 람다256(lambda 256)의 대표이다. 그는 포항공과대학교에서 전산을 공부했으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창업가, 벤처투자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가이다. 2018년 5월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256의 연구소장으로 취임했으며, 2019년 3월 람다256 분사와 함께 세계 최초의 컨소시엄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루니버스를 정식 론칭했다.
정현우(Brian Cheong) :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티티씨(TTC)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CEO)이다. 1,500만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중국 내 SNS인 타타유에프오(tataUFO)의 대표 및 창업자이기도 하다.
최재승(Richard Choi) : 캐리 프로토콜(Carry Protocol)의 공동창업자 및 공동대표이다.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바이오메디컬 공학을 전공했으며 코넬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오프라인 매장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블록체인으로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구매 데이터 선순환 플랫폼을 지향하는 캐리 프로토콜을 설립했다.
한재선 : ㈜카카오의 블록체인 자회사 그라운드X의 창업자이자 대표이다. 그는 국내에서 손꼽히는 분산시스템과 빅데이터 전문가로서 그라운드X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상용화를 목표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 개발을 리드하고 있다.
장용숙 : 슈퍼블록(superbloke)의 대표이다. SK커뮤니케이션즈, LG전자, 브라더게임즈에서 10년 이상 검색·추천·게임 관련 분야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CTO 출신 대표이다. 축구 스타 토큰을 수집하고 성장시켜 디지털 자산화 할 수 있는 축구 수집 디앱인 FC 슈퍼스타즈를 론칭했다.
정순형 : ㈜온더의 CEO이자 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의 대표로서, 토카막 네트워크의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다. 서울 이더리움 밋업 공동조직자 중 한 명으로서, 이더리움 메인넷에 연결되는 사이드체인(sidechain)인 플라즈마(plasma) 기술을 연구 중이다.
고우균(Allen Kho) :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개인 의료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메디블록(Medibloc)의 공동대표로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출신의 치과의사이다. 카이스트와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 삼성전자갤럭시S 제품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다 치과의사가 되었다. 진료실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 정보의 활용을 통해 환자를 위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고자 메디블록을 설립했다.
김도형 : 블록체인 기반 투자은행 플랫폼인 핀헤이븐(Finhaven)의 대표이사이다. 그는 암호원장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전자증권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핀헤이븐 인프라를 통해 세계 자본 시장 생태계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그의 최대 관심사이다.
김국현(Alex Kim) :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거래소 사업을 추진하는 업비트 APAC의 최고 경영자이다. 김국현은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그는 카카오 글로벌 비즈니스 디렉터(2013년~2014년), 카카오 인도네시아 대표(2014년 ~ 2017년)로 근무하며 글로벌 사업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 카카오에서 동남아 사업을 맡으며 6년간 현장을 누빈 결과, 김국현은 2017년 2월 설립된 업비트 APAC 및 업비트 싱가포르의 대표로 취임했다.
이홍규 : 라인과 아이콘이 합작하여 설립한 조인트 벤처법인인 언체인(Unchain)의 대표이자 라인(LINE)의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을 총괄하고 있다. 언체인은 라인과 아이콘의 자회사로 라인의 블록체인 플랫폼인 체인링크(Chain LINK)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링크(LINK)는 링크체인을 기반으로 한 라인의 암호화폐 에코 시스템으로 라인에서 출시될 다양한 서비스에서 지불과 보상수단으로 사용된다.
신현성(Daniel Shin) : 인터넷 쇼핑몰에서 결제용으로 사용하는 암호화폐인 테라(Terra)를 공동 창립하고 테라 비즈니스를 총괄하고 있다. 이전에는 국내 대표 이커머스 플랫폼 티몬(TMON)의 최고경영자로서 이커머스에 대한 폭넓은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손우람 : 증강현실(AR) 모노폴리 게임인 모스랜드(Mossland)를 개발한 리얼리티 리플랙션(Reality Reflection) 회사의 대표이사(CEO)이다. 모스랜드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스코인(Mosscoin)의 공동 창시자이다. 모스랜드를 통해 가상세계와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한 가상 부동산 생태계를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다.
송계한 : 게임, 소프트웨어 등 디지털 콘텐츠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보라토큰(Bora Token)을 만든 웨이투빗(Way2Bit)의 대표이사이다. 그는 서강대학교 컴퓨터공학 석사 과정을 마친 후 지난 20년간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여러 플랫폼을 개발하며 플랫폼 사업을 이끌었다.
원지현 : 왓챠(Watcha) 서비스를 제공하는 ㈜왓챠가 만든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유통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콘텐츠프로토콜토큰(CPT)의 공동창업자 겸 최고운영책임자(COO)이다. 그는 왓챠 및 왓챠플레이의 제품 및 사업 총괄을 맡고 있다.
김종윤 : ㈜야놀자의 사업전략 총괄대표이자 부대표이다. 서울대 졸업 후 3M과 구글에서 근무하다가 미국 다트머스 대학교MBA 졸업 후 맥킨지에 합류하였다. 현재 이수진 야놀자 총괄대표와 함께 국내외 숙박 및 레저 액티비티 플랫폼 부문과, 글로벌 투자 유치 및 기업 인수 등 사업 전략 부문을 총괄하고 있다.
주상식 :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을 엔터테인먼트에 적용하기 위해 조직된 에스엠엔터테인먼트 CT-AI 랩스의 랩장이다. 동국대학교에서 철학과 컴퓨터공학을 복수전공한 그는 SI회사에서 커리어의 첫 발을 내디뎠고, 2004년부터 지금까지 SM 엔터테인먼트에서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최신 IT기술을 사업에 접목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이용구 : 객관식 시험 영역에 특화된 머신러닝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머신러닝 기반의 1:1 맞춤형 학습 솔루션을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유통 회사인 ㈜뤼이드의 상무이다. AI연구를 담당하고 있고 NLP, 머신러닝 및 딥러닝 알고리즘을 설계, 개발, 실험 등 연구 과정에서 방향성을 제시하고, 뤼이드에서 진행되는 모든 기술 연구에 전반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오영택 :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을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인 템비트(Tembit)를 개발한 ㈜매그니스(Magnis)의 연구소장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한 그는 삼성종합기술원(SAIT)과 삼성전자에서 전문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알체라의 설립자이자 CTO이기도 했다.
김재호 : 암호화폐 지갑 비트베리(Bitberry)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다. 이스트소프트(ESTsoft)에서 소프트 엔지니어로 사회에 첫 발을 내딛은 그는 이후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IT 대기업과 블록체인 개발 기업인 왓챠에서도 소프트 엔지니어로 근무하였다.
박혜영 : 아마존 웹서비스(AWS)의 시니어 솔루션즈 아키텍트이며, 블록체인 스페셜리스트로 활동 중이다. 이전엔 SK 텔레콤 서비스 부문 팀장이었으며, 삼성 전자 결제 그룹의 수석, Yahoo 검색 엔진 팀 개발 서비스, 삼성 전자, SKT를 운영하는 호텔, 서비스, 빅 데이터, 클라우드 공유 경제 등 다양한 플랫폼에 개발 및 참여하였다.
박천구 : 아마존 웹서비스(AWS) 시니어 솔루션즈 아키텍트로 활동하고 있다. 금융, 공공, 교육, 디지털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을 쌓았고, 최근까지 대형 인터넷 기업에서 클라우드 기반 IoT 플랫폼을 개발하고 운영하였다. 현재 블록체인을 이용한 클라우드를 개발하고 있다.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또는 간략히 UDC 2019(Upbit Developer Conference 2019)는 2019년 9월 4일(수) ~ 5일(목) 이틀간 인천광역시 영종도에 있는 그랜드하얏트호텔 인천에서 개최된 업비트의 블록체인 행사이다.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는 블록체인 개발자들의 지식 공유와 자유로운 토론, 다양한 네트워킹, 예비 개발자들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들을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개발자 중심의 콘퍼런스이다. 이 행사는 업비트(Upbit) 거래소를 운영하는 두나무㈜ 회사가 주최하는 행사이다. 제1회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는 2018년 제주도에서 개최되었다. 제2회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는 2019년 9월 04일(수) ~ 5일(목)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해안남로 321번길 208 그랜드하얏트호텔 인천에서 진행되었다.
케빈 아보시(Kevin Abosch) : 스튜디오 케빈 아보시(Studio Kevin Abosch)의 작가로서, 아이엠어코인(IAMA Coin)을 발행했다. 그는 정체성과 가치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개념 예술가로, 자신의 작품을 통해 존재론적 질문을 다루고 사회적 딜레마에 대응해오고 있다.
리몬 베어드(Leemon Baird) : 블록체인 기술을 뛰어넘는 차세대 알고리즘인 해시그래프(Hashgraph)의 창시자 겸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의 공동 창업자 겸 기술이사(CTO)이다. 동료인 맨스 하몬(Mance Harmon)과 함께 헤데라 해시그래프 회사를 공동 창업했으며 20년 이상 기술 및 스타트업 분야에서 경력을 쌓아 미국 공군사관학교의 컴퓨터과학부 교수와 함께 여러 연구소의 선임 과학자로 활동한 바 있다.
알렉산더 홉트너(Alexander Höptner) : 독일에서 두 번째로 큰 증권 거래소 보어 슈투트가르트(Boerse Stuttgart)의 대표이사이다. 그는 2017년 1월 1일 보여 슈투트가르트 경영 이사회에 선임되었으며 프라이머리 마켓, 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디지털라이제이션 등의 사업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샘슨 모우(Samson Mow) : 비트코인 프로토콜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블록스트림(Blockstream)의 보안 담당 최고 책임자(CSO)이다. 분산화의 중요성과 프로토콜 개발 시 보안 우선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비트코인 커뮤니티 내에서 주요 개발자로 자리 잡았다.
비노드 티와리(Vinod Tiwari) : 블록체인 기반의 에너지 산업을 위한 암호화폐인 파워렛저(PowerLedger)의 사업총괄 실장으로서, 회사에서 비즈니스 개발과 판매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그는 퍼스 에너지, 퓨처 이펙트, 레건 파워 등에서 수년간 에너지 사업 분야를 담당한 경험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 거래 플랫폼, 신재생 에너지 인증서 거래 및 자산 금융 등 파워렛저의 블록체인 기술을 호주 및 글로벌 시장에 확산해 나가고 있다.
미치 류(Mitch Liu) : 블록체인 기반의 동영상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쎄타(Theta)를 개발한 쎄타랩스(Theta Labs)와 그 모회사인 슬리버 티비(SLIVER.tv)의 공동 설립자이자 대표이다. 그는 2010년 게임뷰스튜디오(Gameview Studios) 설립 후 모바일 게임 탭피쉬(Tap Fish)를 크게 성공시키며 단 6개월 만에 일본 대표 게임회사인 디나(DeNA)에 인수되었다.
테드 인(Ted Yin ) :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업체인 아바랩스(Abalabs)의 수석 프로토콜 아키텍트 겸 공동설립자이다. 그는 코넬대학교에서 에민 귄 시러(Emin Gün Sirer)교수와 로버트 반 레네세(Robbert van Renesse) 교수의 지도하에 컴퓨터 박사과정 3년 차를 밟고 있으며 달리아 말키(Dahlia Malkhi) 박사와 긴밀한 협력체제 하에 일하고 있다. 디자인과 실용적 분산시스템 구축이 관심사로 최근에는 내 결함성 문제, 합의 프로토콜, P2P 시스템에 좀 더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업적으로는 스노우(Snow) 및 애벌런치 프로토콜(avalanche protocol)과 핫스터프 프로토콜(hotstuff protocol) 등이 있다.
얀 주(Yan Zhu) : 브레이브 브라우저(Brave Browser)와 베이직어텐션토큰(BAT)을 개발한 브레이브 소프트웨어(Brave Software)의 보안연구원 겸 최고 정보 보안 책임자이다. 얀은 Let's Encrypt, HTTPS Everywhere, SecureDrop, Privacy Badger를 포함한 다양한 오픈소스 보안 및 개인정보 프로젝트 업무를 담당하였다.
에브 쿼크(eV Quirk) : 베이직어텐션토큰(BAT)을 만든 브레이브 소프트웨어(Brave Software)의 수석 엔지니어다. 이전에 시스코(CISCO)와 스파이어 글로벌(Spire Global)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었다. 현재 BAT 아키텍처와 백엔드 시스템을 담당하고 있고, 차기 프로젝트인 'Gemini' 설계를 담당하고 있으며 Brave Rewards의 백엔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후만 하다드(Houman Haddad) : 후만 하다드는 유엔세계식량계획의 이머징 테크놀로지 실장이다. 세계식량계획(WFP)는 기아 퇴치를 위한 유엔의 식량 지원 기관으로, 후만은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부처간 협조를 이끌어내고 영향력과 책임감을 높이는 동시에 비용과 위험을 줄여 CBT(Cash-Based Transfer)를 개선하고자 "빌딩 블록"(Building Blocks) 프로젝트를 개발하였다.
얀 융에(Jan Junge): 얀 융에는 독일 다임러 모빌리티의 블록체인 팩토리에서 블록체인 개발 겸 제품 책임을 담당하고 있다. 메르세데스 벤츠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 개발자로 근무하는 등 자동차 분야에서 수년간 몸담기도 했다. 이후 크립토 자산에 자동화 전략을 적용하는 크립토 핀테크 기업 트레이드 포워드(Trade Forward)를 공동 설립한 바 있다.
티모시 리(Timothy Li) : 티모시 리는 쎄타랩스(Theta Labs)의 플랫폼 총괄 책임자이다. 그는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학사, 시카고 대학교 석사를 받았으며, 앤드리슨 호로위치, 히어, 액센추어랩에서 근무했다. 그는 블록체인, 자율주행, 클라우드소싱 등 신기술에 대한 폭넓은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쎄타랩스에서 플랫폼 전략과 파트너십 인게이지먼트를 담당하고 있다.
송치형 : 한국의 대표적인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Upbit)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창업자 겸 이사회 의장이다. 그는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전공하고 경제학부를 부전공했다. 2017년 9월 그는 미국 비트렉스와 제휴하여 업비트를 오픈했다. 업비트는 오픈 직후 빗썸을 누르고 한국 1위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성장했고, 한때 거래금액 기준으로 세계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2018년 송치형은 카카오 출신의 이석우에게 대표이사 자리를 넘기고 회사의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다.
이석우 :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대표이사이다.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면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카카오에서 카카오톡을 국민 메신저로 만드는데 크게 기여하고 다음과의 합병에도 한 축을 담당하여 다음카카오의 공동대표를 지내다가 두나무의 대표이사 자리를 제의받아 현재 대표이사로 국내 블록체인 사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박재현(Jay Park) :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이자 블록체인 플랫폼인 루니버스(Luniverse)를 개발하고 있는 람다256(lambda 256)의 대표이다. 그는 포항공과대학교에서 전산을 공부했으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창업가, 벤처투자가,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가이다. 2018년 5월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256의 연구소장으로 취임했으며, 2019년 3월 람다256 분사와 함께 세계 최초의 컨소시엄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루니버스를 정식 론칭했다.
정현우(Brian Cheong) :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티티씨(TTC)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CEO)이다. 1,500만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중국 내 SNS인 타타유에프오(tataUFO)의 대표 및 창업자이기도 하다.
최재승(Richard Choi) : 캐리 프로토콜(Carry Protocol)의 공동창업자 및 공동대표이다.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바이오메디컬 공학을 전공했으며 코넬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오프라인 매장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블록체인으로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구매 데이터 선순환 플랫폼을 지향하는 캐리 프로토콜을 설립했다.
한재선 : ㈜카카오의 블록체인 자회사 그라운드X의 창업자이자 대표이다. 그는 국내에서 손꼽히는 분산시스템과 빅데이터 전문가로서 그라운드X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상용화를 목표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 개발을 리드하고 있다.
장용숙 : 슈퍼블록(superbloke)의 대표이다. SK커뮤니케이션즈, LG전자, 브라더게임즈에서 10년 이상 검색·추천·게임 관련 분야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CTO 출신 대표이다. 축구 스타 토큰을 수집하고 성장시켜 디지털 자산화 할 수 있는 축구 수집 디앱인 FC 슈퍼스타즈를 론칭했다.
정순형 : ㈜온더의 CEO이자 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의 대표로서, 토카막 네트워크의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다. 서울 이더리움 밋업 공동조직자 중 한 명으로서, 이더리움 메인넷에 연결되는 사이드체인(sidechain)인 플라즈마(plasma) 기술을 연구 중이다.
고우균(Allen Kho) :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개인 의료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메디블록(Medibloc)의 공동대표로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출신의 치과의사이다. 카이스트와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 삼성전자갤럭시S 제품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다 치과의사가 되었다. 진료실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 정보의 활용을 통해 환자를 위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고자 메디블록을 설립했다.
김도형 : 블록체인 기반 투자은행 플랫폼인 핀헤이븐(Finhaven)의 대표이사이다. 그는 암호원장 및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전자증권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핀헤이븐 인프라를 통해 세계 자본 시장 생태계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그의 최대 관심사이다.
김국현(Alex Kim) :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거래소 사업을 추진하는 업비트 APAC의 최고 경영자이다. 김국현은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그는 카카오 글로벌 비즈니스 디렉터(2013년~2014년), 카카오 인도네시아 대표(2014년 ~ 2017년)로 근무하며 글로벌 사업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 카카오에서 동남아 사업을 맡으며 6년간 현장을 누빈 결과, 김국현은 2017년 2월 설립된 업비트 APAC 및 업비트 싱가포르의 대표로 취임했다.
이홍규 : 라인과 아이콘이 합작하여 설립한 조인트 벤처법인인 언체인(Unchain)의 대표이자 라인(LINE)의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을 총괄하고 있다. 언체인은 라인과 아이콘의 자회사로 라인의 블록체인 플랫폼인 체인링크(Chain LINK)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링크(LINK)는 링크체인을 기반으로 한 라인의 암호화폐 에코 시스템으로 라인에서 출시될 다양한 서비스에서 지불과 보상수단으로 사용된다.
신현성(Daniel Shin) : 인터넷 쇼핑몰에서 결제용으로 사용하는 암호화폐인 테라(Terra)를 공동 창립하고 테라 비즈니스를 총괄하고 있다. 이전에는 국내 대표 이커머스 플랫폼 티몬(TMON)의 최고경영자로서 이커머스에 대한 폭넓은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손우람 : 증강현실(AR) 모노폴리 게임인 모스랜드(Mossland)를 개발한 리얼리티 리플랙션(Reality Reflection) 회사의 대표이사(CEO)이다. 모스랜드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스코인(Mosscoin)의 공동 창시자이다. 모스랜드를 통해 가상세계와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한 가상 부동산 생태계를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다.
송계한 : 게임, 소프트웨어 등 디지털 콘텐츠 블록체인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보라토큰(Bora Token)을 만든 웨이투빗(Way2Bit)의 대표이사이다. 그는 서강대학교 컴퓨터공학 석사 과정을 마친 후 지난 20년간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여러 플랫폼을 개발하며 플랫폼 사업을 이끌었다.
원지현 : 왓챠(Watcha) 서비스를 제공하는 ㈜왓챠가 만든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유통 플랫폼을 위한 암호화폐인 콘텐츠프로토콜토큰(CPT)의 공동창업자 겸 최고운영책임자(COO)이다. 그는 왓챠 및 왓챠플레이의 제품 및 사업 총괄을 맡고 있다.
김종윤 : ㈜야놀자의 사업전략 총괄대표이자 부대표이다. 서울대 졸업 후 3M과 구글에서 근무하다가 미국 다트머스 대학교MBA 졸업 후 맥킨지에 합류하였다. 현재 이수진 야놀자 총괄대표와 함께 국내외 숙박 및 레저 액티비티 플랫폼 부문과, 글로벌 투자 유치 및 기업 인수 등 사업 전략 부문을 총괄하고 있다.
주상식 :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을 엔터테인먼트에 적용하기 위해 조직된 에스엠엔터테인먼트 CT-AI 랩스의 랩장이다. 동국대학교에서 철학과 컴퓨터공학을 복수전공한 그는 SI회사에서 커리어의 첫 발을 내디뎠고, 2004년부터 지금까지 SM 엔터테인먼트에서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최신 IT기술을 사업에 접목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이용구 : 객관식 시험 영역에 특화된 머신러닝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머신러닝 기반의 1:1 맞춤형 학습 솔루션을 제공하는 교육 콘텐츠 유통 회사인 ㈜뤼이드의 상무이다. AI연구를 담당하고 있고 NLP, 머신러닝 및 딥러닝 알고리즘을 설계, 개발, 실험 등 연구 과정에서 방향성을 제시하고, 뤼이드에서 진행되는 모든 기술 연구에 전반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오영택 :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을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인 템비트(Tembit)를 개발한 ㈜매그니스(Magnis)의 연구소장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한 그는 삼성종합기술원(SAIT)과 삼성전자에서 전문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알체라의 설립자이자 CTO이기도 했다.
김재호 : 암호화폐 지갑 비트베리(Bitberry)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다. 이스트소프트(ESTsoft)에서 소프트 엔지니어로 사회에 첫 발을 내딛은 그는 이후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IT 대기업과 블록체인 개발 기업인 왓챠에서도 소프트 엔지니어로 근무하였다.
박혜영 : 아마존 웹서비스(AWS)의 시니어 솔루션즈 아키텍트이며, 블록체인 스페셜리스트로 활동 중이다. 이전엔 SK 텔레콤 서비스 부문 팀장이었으며, 삼성 전자 결제 그룹의 수석, Yahoo 검색 엔진 팀 개발 서비스, 삼성 전자, SKT를 운영하는 호텔, 서비스, 빅 데이터, 클라우드 공유 경제 등 다양한 플랫폼에 개발 및 참여하였다.
박천구 : 아마존 웹서비스(AWS) 시니어 솔루션즈 아키텍트로 활동하고 있다. 금융, 공공, 교육, 디지털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을 쌓았고, 최근까지 대형 인터넷 기업에서 클라우드 기반 IoT 플랫폼을 개발하고 운영하였다. 현재 블록체인을 이용한 클라우드를 개발하고 있다.
한국블록체인기업진흥협회 창립1주년 기념식이 2019년 9월 16일(월) 오후 2시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창립 1주년을 기념하는 동시에 더 큰 도약을 위한 새로운 비전을 선포하고 이에 대한 실현 의지를 다지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기념식과 함께 열리는 세미나는 "암호화 자산거래의 제도화 및 서민경제활성화"를 주제로 진행되었다. 한국블록체인기업진흥협회는 블록체인 산업의 활성화, 기술의 고도화, 블록체인 관련 규제의 선진화를 목표로 창립된 단체이다. 본 행사는 한국블록체인기업진흥협회와 이상민 의원, 정인화 의원이 주최하고, ㈜코리아월드, 한국블록체인단체연합회,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등이 후원했다.
2019 블록체인 월드 포럼 싱가포르(2019 Blockchain World Forum Singapore)는 워사이시미디어(沃赛思传媒), 아이디액티스(Ideactice), 핀테크 얼라이언스(FinTech Alliance)가 공동 주최하는 블록체인포럼 행사이다. 이 행사는 2019년 9월 19일(목)부터 20일(금)까지 싱가포르에서 '블록체인 기술과 관련된 동향, 기회, 과제 탐구'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블록체인 월드 포럼 싱가포르는 블록체인의 산업 기술자, 규제자, 투자자, 기업가와 금융기관의 리더와 혁신자들을 환영하여 일련의 회담, 토론, 쇼케이스를 개최했다.
2019 블록체인 월드 포럼 싱가포르(2019 Blockchain World Forum Singapore)는 워사이시미디어(沃赛思传媒), 아이디액티스(Ideactice), 핀테크 얼라이언스(FinTech Alliance)가 공동 주최하는 블록체인포럼 행사이다. 이 행사는 2019년 9월 19일(목)부터 20일(금)까지 싱가포르에서 '블록체인 기술과 관련된 동향, 기회, 과제 탐구'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블록체인 월드 포럼 싱가포르는 블록체인의 산업 기술자, 규제자, 투자자, 기업가와 금융기관의 리더와 혁신자들을 환영하여 일련의 회담, 토론, 쇼케이스를 개최했다.
블록페스타 2019(Blockfesta 2019)는 2019년 9월 27일(금)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블록미디어가 주관한 블록체인 행사이다. 이 행사는 국회의원 김성수, 국회의원 추경호, 블록미디어,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가 공동주최하며, 부산시, 제주도, 강원도, 블록체인법학회가 후원했다. 본 행사의 소제목은 '정부의 블록체인(Blockchain in Government)'이다. 이번 행사는 관련 부처를 비롯해 블록체인 전문기업, 블록체인 시범사업 진행 기업, 학계, 연구소, 변호사, 블록체인 전문가 등 관계자 300여 명이 참석해 많은 관심을 받았다. 2019년 11월 초 발간되는 이번 행사 도록은 각 세션별 발표자 소개와 주요 발표 내용이 요약되어 있어, 이날 세미나 내용을 모두 듣지 못한 참가자들과 참가하지 못한 관계자들도 이날 행사의 전체적인 내용을 간략하게 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19(Korea Blockchain Week 2019)는 2019년 09월 30일(월)부터 10월 01일(화)까지 서울시 강남구 파르나스호텔에서 팩트블록(Factblock)이 주최한 블록체인 행사이다. 이 행사에서는 'The Real and The Virtual'을 주제로 블록체인 선구자들이 모여 블록체인 산업과 기술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19의 메인 이벤트인 디파인(D.FINE)은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서울경제, 파이낸셜뉴스, 블록미디어 등 메이저 5개 미디어 그룹과 팩트블록, 해시드가 함께 연합으로 주관하는 대한민국 최초의 블록체인 콘퍼런스이다. 해당 콘퍼런스는 기술과 서비스, 정책 분야 세계 최고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블록체인의 현주소와 미래상을 조망하는 정보교류의 장이자, 블록체인 산업계 모두가 참가하는 아시아 최대의 축제이다. 디파인 행사는 UN 산하기관인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EU 블록체인 포럼기구, 그리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및 세계 최고 블록체인 도시를 구축 중인 서울시와 부산시가 후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