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st 후오비 블록체인 스타트업 데모데이 3부(1st Huobi Blockchain Startup Demo Day)는 후오비코리아(Huobi Korea)가 주최하는 블록체인 행사이다. 이 행사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495 2층 메인홀의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에서 진행된다. 후오비 블록체인 스타트업 데모데이는 인큐베이팅이나 엑셀러레이팅을 받은 스타트업이 투자자, 대중 앞에서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을 발표하고, 새로운 투자자를 찾는 자리다. 1부는 2019년 11월 19일, 2부는 2019년 11월 26일에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 참가업체: 제네시스체인, ㈜아이오트러스트, 플루토체인
제네시스체인(Genesis Chain) : 헬스케어 및 스포츠 분야 블록체인 기업이다. 제네시스체인이 개발한 걷다 애플리케이션은 헬스케어 및 스포츠 산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존 문제점을 보완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블록체인 기술을 융합한 것이 특징이다. 대표는 정제성이다.
㈜아이오트러스트(IoTrust) : 임베디드 보안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기술과 경험을 쌓아온 8명의 베테랑 기술자에 의해 설립된 콜드월렛 전문기업이다. 또한, 블록체인의 또 다른 프로젝트로 블록체인의 난제 즉 외부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입력하는 기술인 오라클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대표이사는 백상수이다.
플루토체인(PlutoChain) : 블록체인 기반 보상 투자 플랫폼이다.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 '쉬운 접근성', '더 나은 수익', '정제된 데이터'라는 가치를 제공하고자 시작된 프로젝트이다. 미러 트레이딩 서비스를 상용화하여 트레이더가 설정한 전략을 유저가 동일하게 주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대표이사는 이건희이다.
부산 블록체인 발전포럼 3회차(Busan Blockchain Development Forum)는 부산광역시, 부산테크노파크, 한국예탁결제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추진단이 주최하고 주관하는 블록체인 발전 포럼이다. 이번 행사의 목적은 블록체인 활용 가능성 논의 및 국내외 블록체인 기술, 정책 공유의 장 정례화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특구운영위원, 부산시, 유관기관˙업체, 전문가 등이 참석하였으며, 2019년 12월 04월(수) 오전 07:30 ~ 09:00까지 부산 남구 문현금융로 40 부산국제금융센터 5층 KSD홀에서 개최되었다.
최화인 : 연세대학교에서 학사와 문학 석사를, 성균관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를 받았다. 현재, 한국블록체인협회에서 블록체인캠퍼스 학장·자율규제위원회 규제위원·자문위원을 맡아 거래소 자격심사,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에 관한 정책대응 및 교육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조정환 :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P&G(Proctor & Gamble)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 애널리스트, 서울외국환중개(smbs) 이자율 파생상품 중개역 등을 맡았으며 현재, 글로벌 3대 암호화폐 거래소 오케이코인(OKEx)의 한국 법인을 이끄는 오케이코인코리아의 대표이사이다.
조한열 : 서울대 컴퓨터공학부를 졸업 후, 2008년 북잼의 전신인 인터큐비트를 설립했다. 스마트폰 시대 도래와 함께 앱북 사업에 가능성을 감지했고 개발자의 장인정신을 발휘하여 차별력 있는 전자책 포맷 BPX를 개발했다.
이승환 :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뉴스 기업인 코인니스(Coinness) 한국 대표이자 코인니스코리아(Coinness Korea)의 운영사인 긱서퍼 주식회사 대표이사이다. 코인니스는 중국 비스지에(Bishijie)의 자회사이다.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2019(Blockchain Industry Innovation Conference 2019)는 ㈜테크월드가 주최하는 제3회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 행사이다. 간략히 BIIC 2019라고 부른다. 12월 4일(수)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그랜드볼룸에서 진행되었다. '2020년 블록체인 업계의 방향성과 전망'을 주제로 플랫폼, 디앱/엔터프라이즈 등의 분야별 선도기업 전문가들과 함께 2019년 성과를 점검하고 다가오는 2020년 블록체인의 성장 방향을 조망하였다. 블록체인 관련 협회와 블록체인 실사용화를 위해 뛰는 기업들이 참가했다.
일시 : 2019년 12월 4일(수) 09:00 ~ 12월 4일(목) 09:30 ~ 17:00
핀테크·블록체인 콘퍼런스 FinD 2019는 IT조선이 주최하고 금융위원회, 금융결제원,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업비트, 글로스퍼, 화웨이 등이 후원하는 블록체인 콘퍼런스이다. 이번 행사에는 엔터프라이즈용 블록체인 솔루션과 블록체인 금융, 간편결제 관련 기관 및 선두기업이 총출동했다. 핀디 2019(FinD 2019)는 핀테크와 블록체인 등 최신 기술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자리로, 금융 시장에서 영향력 있는 여러 글로벌 기업들이 참석하는 자리이다. 이번 행사의 주제는 '미래 금융을 향한 새로운 도전의 시작'이다. FinD 2019 콘퍼런스는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있는 블록체인과 핀테크 기술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 앞으로의 금융 트렌드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함께 논의하는 자리이다.
테크핀 아시아 2019(Techfin Asia 2019)는 기업가, 개발자, 투자자, 입법자들이 한데 모여 금융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는 국제 콘퍼런스이다. '테크핀'은 '핀테크'와 마찬가지로 기술(technology)과 금융(finance)의 합성어이나, 기술을 금융보다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테크핀 아시아의 전신(前身)은 '인사이드 핀테크'이며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미국에서 개최하였다. 2019년에는 한국에서 킨텍스(Kintex)와 블록체인 액셀러레이터인 체인파트너스(Chain Partners)와 공동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IT와 금융의 주요 인사들이 참여하여 공유경제, 인공지능, 빅데이터, 머신러닝, 전자상거래, 오픈뱅킹, 블록체인 등 금융과 관련된 혁신적인 기술 전반을 다루었다. 2019년 12월 05(목) ~ 2019년 12월 06일(금)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6홀에서 진행되었다.
일시 : 2019년 12월 05일 (목) ~ 2019년 12월 06일 (금) 10:00 ~ 17:00
테크핀 아시아 2019(Techfin Asia 2019)는 기업가, 개발자, 투자자, 입법자들이 한데 모여 금융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는 국제 콘퍼런스이다. '테크핀'은 '핀테크'와 마찬가지로 기술(technology)과 금융(finance)의 합성어이나, 기술을 금융보다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테크핀 아시아의 전신(前身)은 '인사이드 핀테크'이며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미국에서 개최하였다. 2019년에는 한국에서 킨텍스(Kintex)와 블록체인 액셀러레이터인 체인파트너스(Chain Partners)와 공동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IT와 금융의 주요 인사들이 참여하여 공유경제, 인공지능, 빅데이터, 머신러닝, 전자상거래, 오픈뱅킹, 블록체인 등 금융과 관련된 혁신적인 기술 전반을 다루었다. 2019년 12월 05(목) ~ 2019년 12월 06일(금)까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 6홀에서 진행되었다.
일시 : 2019년 12월 05일 (목) ~ 2019년 12월 06일 (금) 10:00 ~ 17:00
지비씨코리아 컨퍼런스(GBC Korea Conference)는 지비씨코리아(GBC KOREA)가 주최하는 글로벌 콘퍼런스이다. 지비씨(GBC)는 글로벌 블록체인 크립토커런시(Global Blockchain Cryptocurrency)의 약자이다. 이 행사는 세계적인 미래학자 토마스 프레이와 박수용한국블록체인학회 회장을 초빙해 《블록체인 및 디지털 화폐의 미래 전망》이라는 주제로 개최되었다. 전 세계 처음으로 글로벌 블록체인 M&A 플랫폼인 MAP을 론칭하고 블록체인과 4차 산업혁명의 미래를 바라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2019년 12월 06(금) 오전에 JW메리어트호텔 그랜드볼룸(6F)에서 진행되었다.
토마스 프레이(Thomas Frey) : 미국의 대표적인 미래연구소인 다빈치연구소의 소장이며 2006년, 구글에서 최고의 미래학자로 선정됐다.15년간 IBM에서 기술자 겸 디자이너로 일하며 270여개의 상을 받았다. IQ 천재들의 모임인 트리플나인소사이어티 회원이다.
민병두 : 성균관대학교 무역학과 졸업 후 일간지 '문화일보'에서 기자활동 후, 워싱턴 특파원, 정치부장, 국회 반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제20대 국회에서 정무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블록체인 산업 육성에 기여하고 있다.
박수용 : 서강대학교 컴퓨터학과를 졸업 후,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컴퓨터 및 정보과학 석사 학위를, 조지메이슨대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강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블록체인학회를 맡고 있으며 블록체인 개발업체인 ㈜엠블럭의 대표이사이다.
정유신 : 대우경제 연구소를 거쳐 대우증권 채권영업부 부장, 대우증권 IB2 사업본부 본부장 등을 지냈으며, 굿모닝신한증권 부사장, 한국스탠다드차타드증권 대표이사, 한국벤처투자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현재,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센터장과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을 맡고 있다.
이경헌 : 국내 최초 블록체인 기반 M&A 플랫폼 맵을 개발, 상용화했다. 맵은 전 세계 누구나, 어디서나, 언제든지 기업 M&A 거래에 소액으로 참여해 수익을 낼 수 있는 글로벌 M&A 참여 서비스이다. 현재 지비씨코리아의 대표이다.
자기 주권 신원과 블록체인(Self Sovereign Identity and Blockchain)은 2019년 12월 6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 330 세미양빌딩 D동 2층 J-Cube에서 크립토제주가 주최하는 블록체인 행사이다. 이 행사는 제주산학융합원, 컨센시스, 자기 주권 신원 밋업(Self Sovereign Identity Meetup; SSI Meetup)이 후원하는 제주 블록체인 밋업이다. 이번 밋업은 '자기 주권 신원과 블록체인'을 주제로 분산 신원 확인(Decentralized Identity; DID)과 제주도민 인증, 분산 신원 확인과 블록체인으로 구성돼 있다. 신청 시 누구나 참석이 가능하다.
2019 게이트코리아 연말파티(Thank you 2019 with Gate.io)는 게이트아이오, 아르파가 주최하고 이더랩이 주관하는 행사이다. 2019년 12월 9일(월) 오후 7시부터 ~ 10시까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83길 20 벨지움 재즈카페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연말파티는 'Thank you 2019 with Gate.io'라는 타이틀로 진행되었다. 당일 행사에서는 게이트코리아의 대표이자 아시아 태평양 지역 부대표인 티나 위앤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게이트아이오의 연말 브리핑과 아르파의 예무 쉬 대표의 발표가 이어졌다. 이번 브리핑에서는 한 해 동안 게이트아이오에서 신규로 출시한 IEO 플랫폼인 스타트업, 탈중앙화 공유체인인 게이트체인(Gate Chain), 스테이킹 및 락킹뿐만 아니라 POS 마이닝을 통해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재테크 플랫폼에 대한 서비스 및 이슈들을 이야기하고, 매월 진행되었던 "4차 산업혁명의 이해" 세미나에서 중요하게 다뤘던 부분, 앞으로의 업계 전망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누었다.
티나 위앤(Tina Yuan, 원앵금, 袁莺芩, Yuan Yingqin, yuán yīng qín) : 중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게이트아이오(Gate.io)의 한국 법인인 게이트코리아(Gate Korea)의 대표이사이다. 티나 유엔이라고도 쓴다.
강봉석(Justin Kang) : 게이트코리아(Gate.io)의 전략기획실 실장이다. 영어 이름은 저스틴 강(Justin Kang)이다. 그는 오프라인 밋업을 이끌고 있으며 블록체인의 발전과정을 대표적인 암호화폐를 사례로 시기별, 특징별로 풀어가면서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와 더불어 심도있는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예무 쉬(Yemu Xu) : 아르파의 창립자이자 최고 성장 책임자이다.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University of Iowa)에서 보험수리과학, 수학, 위험관리 및 보험을 전공하였다. 그는 영어, 중국어가 가능하다.
블록체인 네트워킹 파티(Blockchain Networking Party)는 2019년 12월 10일(화) 뉴스1이 주최한 블록체인 관계자 네트워킹 파티이다. 초대 받은 사람만 참석할 수 있는 공개 행사로, 국내 블록체인 개발자, 거래소 관계자, 행사, 변호사 및 ICO 프로젝트 대표들이 참석했다.
세로 블록체인 밋업(Sero BlockChain Meetup)은 2019년 12월 11일 임피리얼 팰리스 서울 호텔 7층 두베홀에서 세로(SERO)의 펀드 지원 아래에 개최되는 세로 개발자 콘퍼런스이다. 이 행사는 포커스는 세로 개발자 서비스 생태계 및 세로 기술 발전의 글로벌 동기화에 맞춰져 있으며, 세로 메인체인 기술 개발 보고, 디파이 생태계 구성, 생태계 프로젝트 연사 발표로 구성되었다. 세로 글로벌 사용자, 생태계 개발자, 투자기관 및 업계 내 미디어 업체 등 다양한 인원들이 참여했으며, 세로 퍼블릭체인 생태계가 전면적으로 가동됨을 선포하는 자리가 되었다. 또한, 이 콘퍼런스에서 에어드랍과 같은 이벤트도 진행되었다.
일시 : 2019년 12월 11일(수) 12:30~18:00
장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640 임피리얼 팰리스 서울 호텔 7층 두베홀
공동주최 : 세로(SERO; Super Zero Protocol, 超零协议), 엘디캐피탈(LD Capital, 了得资本), 히어로글로벌(Hero Global, 雄兵国际), 토큰캔(Tokencan)
로우지위에(楼霁月, Hanna) : 중국 엘디캐피탈이 만든 히어로글로벌의 총괄 책임자이다. 중국의 디지탈자산관리 그룹 토큰매니아(TokenMania)의 공동창시자이기도 하다. 영어 이름은 한나(Hanna)이다. 그녀는 엘디캐피탈(LD Capital) 회장 이리화의 부인이다.
스티븐 이(Steven Yee) : 세로재단의 한국측 이사이다. 스티븐 이는 2017년에 홍콩 암호화폐 거래소 토큰캔을 설립하였으며 2018년에는 한국에 GW회사를 설립하여 중국과 한국사이에 블록체인 기술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글로벌 최대 예술품 사이트인 아트론(Artron)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포프 션(Pope Shen) : 세로재단의 이사이며, 세로의 최고운영책임자이다. 유명한 중국 온라인 지도회사 딩딩맵(Dingding Map)의 최고기술책임자, 자동차 수직 전자상거래 웹 사이트인 처쳉닷컴(Checheng.com) 기술 파트너, 상장 회사 레드 스타 매칼린 인터넷금융사업부 최고기술책임자 등의 경력을 갖고 있다.
토니 탕(Tony Tang) : 세로의 최고전략책임가이다. 그는 월스트리트(Wall street)의 파생상품 전문가이자 글로벌 자산증권화 업무 분야의 베테랑이다. 다우캐피탈(Dow Capital)과 슈퍼페이(SuperPay)의 공동창립자이자 수석 파트너이기도 하다.
알렉스(Alex) : 중국의 마이닝풀인 판구길드의 오퍼레이터이다. 세로재단 이사회의 멤버이기도 하다. 중국 소셜 커뮤니티 웨이보에서 'Alex-博荣堂主'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
줄리 심(Julie SIM) : 에이아이피피(AIPP) 창업자 겸 대표이사이다. 한국 가나다아이오(ganada.io) 그룹의 회장이며, 블록체인, 금, 부동산, 4차 산업 기술, 원격 제어 항공기 기술 및 항공기 이동체 생산 등에 참여했다. 한국식 이름은 심결령이다.
웨이 첸(WeiChen) : 신형 종합 게임 이벤트 스토어인 브이브이코인(VVCoin)이 익명의 공개 체인 세로에서 발행한 플랫폼 화폐인 에스브이브이씨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이다.
제12회 대전테크포럼 - 블록체인(The 12th Daejeon Tech Forum - Blockchain)은 2019년 12월 11일(화)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오픈홀(KAIST 나노종합기술원 9층)에서 대전광역시와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가 주최한 행사이다. 본 행사는 미래시장 예측 및 발전방향 모색을 통한 블록체인 비즈니스 솔루션을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블록체인 활용 비즈니스 및 기술 소개와 미래산업 예측 강연, 블록체인 스타트업과의 토크콘서트, 참석자 네트워킹이 진행되었다.
이수정 : 기업간상거래(B2B) 솔루션업체인 이포넷(E4net)의 대표이다. 대영전자 연구원 시절에 여성 1호 공채 대졸사원, 비씨카드 재직 시에도 여성 1호 대리, 동진정보통신 시절에도 여성 1호 과장 등 '여성 1호' 별명을 가지고 있다.
서광열 : 증권형토큰(STO)를 위한 블록체인 엔진을 개발하는 코드박스(KodeBox)의 대표이다. 포항공대 PLUS(Postech Laboratory for Unix Security)라는 해킹 동아리 소속이었다. 학교를 다니면서 병특으로 디지털 TV 미들웨어를 만드는 알티캐스트에서 일했다.
2019 루니버스 개발자 콘서트 루니콘(2019 Luniverse Developer Concert LUNICON)은 2019년 12월 12일(목)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4길 14 미림타워 2층 업비트 라운지에서 람다256이 주최하는 블록체인 행사이다. 이 행사는 블록체인이 갖는 기술적 문제와 이를 해결한 루니버스의 노하우를 이야기하기 위해 개최되었으며, 개발자들을 위한 다양한 발표 세션이 진행되었다.
람다256(Lambda 256) : 블록체인 플랫폼인 루니버스(Luniverse)를 개발하고 있는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이다. 두나무㈜가 단순 수수료 사업을 넘어 블록체인 기술 저변 확대 및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2018년 05월에 설립했으나 블록체인 플랫폼 사업을 집중하기 위해 2019년 03월에 독립 법인으로 분사를 했다. 대표자는 박재현이다.
루니버스(Luniverse) : 업비트(Upbit) 거래소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인 람다256이 만든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목표는 누구나 쉽게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 가능하게 하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대표자는 박재현이다.
2019 블록체인 진흥주간(2nd Blockchain Grand Week)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공동주관하는 블록체인 행사이다. 2019년 12월 16일(월) 13:00 ~ 18일(수) 18:00 까지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COEX) 그랜드볼룸(102호~104호 및 로비)에서 개최되었다. 본 행사는 블록체인 콘퍼런스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진행한 시범사업 전시 등 좋은 강연과 체험 가능한 다양한 볼거리들이 준비되었다.
엄경순 :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약 7년간 한국 IBM 교육센터에서 DB2(IBM의 데이터관리시스템) 강사로 일하며 국내 금융, 제조 등 각 산업 군의 경험을 쌓았다. 그후 2017년 초, 한국 IBM 역사상 최초 여성 최고기술책임자(CTO)가 되었다. 현재, IBM 전무로 활동하고 있다.
박재현 : 포항공과대학에서 DBMS를 전공 후 현대전자 S/W 연구소에서 ODBMS, OLTP를 개발했다. 현재는 블록체인과 이더리움, 암호화폐, ICO, 공유경제와 핀테크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를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인 람다256의 연구소장이며 람다256의 대표를 맡고있다.
이영주 : 1994년 2월 성균관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후, 텍사스 대학교 MBA를 수료했다. 이후 버팔로 뉴욕 주립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수료한 후 2012년부터 현재까지 서강대학교 교수직을 맡고 있다.
박지수 : 서강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해, 현재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박사과정 수료를 앞두고 있다. 그는 프리랜서로 일하며 여러 ICO 프로젝트에 참여하다가 블록체인 보안 시장의 기회를 엿보고 창업했다. 현재 블록체인 보안 전문 회사 수호(Sooho)의 대표이다.
유진호 : 고려대 수학과 학사, 고려대 통계학과 석사, 고려대 정보경영공학과 박사 학위를 수료 후, 1993년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약 6년간 재직했다. 그 후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보호학회, 한국정보처리학회 등 다양한 기관을 거치며 경력을 쌓았고 현재 상명대학교에서 경영학부 교수직을 맡고 있다.
이희조 : 포항공대(POSTECH)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포항공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지난 2000년부터 2001년까지 미국 퍼듀대학교 컴퓨터학과와 보안센터인 CERIAS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인터넷 보안에 관해 연구를 수행했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안철수 연구소에서 보안 분야 최고기술책임자(CTO)를 역임해 통합보안제품의 기획과 개발을 담당했으며 2004년부터 현재까지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아시아 디지털 자산 거래소 2020년 전략 VIP 세미나는 코인니스, 비스지에가 주최한 행사이다. 2019년 12월 16일(월) 오후 1시 30분부터 저녁 9시까지 서울시 강남구 프리마호텔에서 개최되었다. 아시아 탑티어 디지털 자산 거래소 경영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2020년 암호화폐 투자 시장을 전망했다. 디지털 자산 거래소는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투자시장을 이끌어가는 핵심 인프라이다. 거래소 관계자들의 입을 통해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현재를 진단하는 시간이 되었다.
2019 블록체인 진흥주간(2nd Blockchain Grand Week)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공동주관하는 블록체인 행사이다. 2019년 12월 16일(월) 13:00 ~ 18일(수) 18:00 까지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COEX) 그랜드볼룸(102호~104호 및 로비)에서 개최되었다. 본 행사는 블록체인 콘퍼런스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진행한 시범사업 전시 등 좋은 강연과 체험 가능한 다양한 볼거리들이 준비되었다.
엄경순 :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약 7년간 한국 IBM 교육센터에서 DB2(IBM의 데이터관리시스템) 강사로 일하며 국내 금융, 제조 등 각 산업 군의 경험을 쌓았다. 그후 2017년 초, 한국 IBM 역사상 최초 여성 최고기술책임자(CTO)가 되었다. 현재, IBM 전무로 활동하고 있다.
박재현 : 포항공과대학에서 DBMS를 전공 후 현대전자 S/W 연구소에서 ODBMS, OLTP를 개발했다. 현재는 블록체인과 이더리움, 암호화폐, ICO, 공유경제와 핀테크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를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인 람다256의 연구소장이며 람다256의 대표를 맡고있다.
이영주 : 1994년 2월 성균관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후, 텍사스 대학교 MBA를 수료했다. 이후 버팔로 뉴욕 주립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수료한 후 2012년부터 현재까지 서강대학교 교수직을 맡고 있다.
박지수 : 서강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해, 현재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박사과정 수료를 앞두고 있다. 그는 프리랜서로 일하며 여러 ICO 프로젝트에 참여하다가 블록체인 보안 시장의 기회를 엿보고 창업했다. 현재 블록체인 보안 전문 회사 수호(Sooho)의 대표이다.
유진호 : 고려대 수학과 학사, 고려대 통계학과 석사, 고려대 정보경영공학과 박사 학위를 수료 후, 1993년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약 6년간 재직했다. 그 후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보호학회, 한국정보처리학회 등 다양한 기관을 거치며 경력을 쌓았고 현재 상명대학교에서 경영학부 교수직을 맡고 있다.
이희조 : 포항공대(POSTECH)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포항공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지난 2000년부터 2001년까지 미국 퍼듀대학교 컴퓨터학과와 보안센터인 CERIAS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인터넷 보안에 관해 연구를 수행했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안철수 연구소에서 보안 분야 최고기술책임자(CTO)를 역임해 통합보안제품의 기획과 개발을 담당했으며 2004년부터 현재까지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20 GBLS 글로벌 블록체인 리더스 서밋(2020 Global Blockchain Leaders Summit)은 지지닷컴(ZG.com)이 주최하는 블록체인 행사이다. 2019년 12월 17일(화) 오전 9시부터 저녁 22시까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그랜드 볼룸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서밋의 목적은 모든 분야의 정치인과 사업가, 블록체인 분야의 전문가와 학자, 기술 분야의 주요 인물들을 한자리에 모아 아이디어 공유의 장을 만드는 것이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업계의 공통 이념을 한데 모으고, 이를 선도적 빛으로 삼아 블록체인을 전 세계로 퍼뜨리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블록체인 산업 글로벌 리더들과 매체, 주요 업체들이 참석해 블록체인 산업의 근미래와 미래 실용성의 가치를 논하는 장이 되었다.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페스티벌 2020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지디넷코리아가 주최하고,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페스티벌 조직위원회가 주관한 행사로, 4차 산업혁명의 미래 및 지속적인 성장 전략을 마련하는 산업, 지식, 체험이 융합된 최대규모의 종합 산업 박람회이다. 인공지능,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자율자동차, 스마트시티, 로봇 등 각 분야별 사업관으로 구성돼 있으며 550개의 부스가 운영되었다. 이번 행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성과 공유와 비즈니스 교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2019년 12월 17일(화) ~ 19일(목) 09:00 ~ 17:00까지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 1층 A홀에서 개최되었다. 각 분야 중 ㈜해시넷이 주최하는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은 블록체인 분야의 하위 행사로, 2019년 12월 19일 9시부터 1시까지 라운지 A에서 ㈜해시넷(대표: 서창녕)이 진행했다.
독일 공학한림원(Acatech) : 독일 과학 기술의 이익과 국내외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독일의 학술연구기관이다. 독일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독일 정부와 대중에게 공학 기술 정책 문제에 대해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 증거에 기초한 자문을 제공한다.
독일연방경제에너지부(BMWi) : 산업의 투자, 디지털 및 교통 인프라, 에너지 개혁 등을 담당하는 독일의 정부 부처이다. 정책 및 예산 관련 사안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 파트너들과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독일 산업의 수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총체적 변화에 대응하여 대한민국 정부의 국가전략과 정책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고, 부처 간 정책을 조정하는 대통령 직속 기구이다. 위원장은 장병규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학기술의 진흥을 위한 기본정책을 수립하고 기술협력 및 원자력, 기타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기존의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를 하나로 합쳐서 만든 부서이다. 장관은 최기영이다.
육군교육사령부 : 현재 및 미래의 전장에서 전승을 보장할 수 있는 정예 육군양성을 위해 병, 부사관, 준사관 및 장교에 이르는 전 신분별 교육을 담당하는 육군의 핵심 교육기관인 동시에 육군의 미래 교리와 교육훈련을 개발하는 본부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정보, 통신, 전자, 방송 및 성과 관련 융·복합기술 분야의 산업원천 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을 통해 국가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원장은 김명준이다.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 데이터베이스산업의 지원․육성으로 일반 국민의 정보 이용 활성화 촉진을 목적으로 1993년 1월 28일 설립된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의 공공기관이다. 원장은 민기영이다.
행정안전부 : 대한민국의 안전과 재난에 관한 정책의 수립·총괄·조정, 법령 및 조약의 공포, 정부조직과 정원, 행정 능률, 전자정부 운영, 지방자치제도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장관은 진영이다.
국토교통부 : 국토종합계획의 수립·조정, 국토의 보전·이용 및 개발, 도시·도로 및 주택의 건설, 해안·하천 및 간척, 육운·철도 및 항공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장관은 김현미이다.
타다 : 2018년 출시된 대한민국의 렌터카 서비스이자 모빌리티 플랫폼이다. 소비자가 앱으로 자동차를 부르면 운전기사가 승객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데려다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출시 이후 빠르게 성장했으나 택시업계는 타다 서비스가 기사들의 생존권을 위협한다며 퇴출을 요구하고 있다. 대표는 이재웅이다.
라온피플㈜(Laon People) : 인공지능 기반의 비전 검사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카메라 모듈 검사기를 제조하고 인공지능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머신 비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는 이석중이다.
마드라스체크㈜(Madras check) : 기업용 협업 솔루션 플로우(flow)를 서비스하는 업체이다. 해외 협업 툴과의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괄적 연동형 서버(SaaS) 대신 사용자 맞춤형 서버(on-premise)를 제작하여 대기업들이 채택하면서 빠르게 입소문을 타고 있다. 대표는 이학준이다.
㈜유라이크코리아(uLikeKorea) : 각종 가축질병 빅데이터를 5억 건 이상 보유한 세계 유일한 가축헬스케어 솔루션 업체이자 스마트축산 전문기업이다. 2015년 국내 최초로 경구투여형 축우 헬스케어 통합서비스인 라이브케어(LiveCare)를 선보였다. 대표는 김희진이다.
㈜한컴위드 : 차세대 보안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자체 기술로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한컴 에스렛저와 20여 년간 축적된 정보보안 기술 노하우를 접목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퀵서비스 플랫폼 말랑말랑 아니벌써를 출시했다. 대표는 노윤선이다.
㈜머니브레인(Money Brain) : 대화형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학습자와 인공지능 튜터가 실시간으로 대화를 주고받으며 영어회화 실력을 향상시키는 앱 스픽나우를 개발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영상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인공지능 분야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자 한다. 대표는 장세영이다.
㈜뤼이드(Riiid) : 교육 콘텐츠 유통 혁신을 위한 에듀테크 회사이다. 객관식 시험 영역에 특화된 머신러닝 기술을 연구·개발하여, 머신러닝 기반의 1:1 맞춤형 학습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의 문제풀이를 분석하여 수준에 맞는 학습을 제공하는 산타토익을 개발했다. 대표는 장영준이다.
인텔리콘연구소(Intellicon) : 법률 자연어처리 및 법률 추론 엔진을 개발한 인공지능 전문 연구소이다. 국내 최초 법률 인공지능 시스템인 아이리스엔(iLIS-N)과 지능형 법률 검색 내비게이션 시스템 유렉스(U-LEX)를 개발했다. 대표는 임영익이다.
㈜메쉬코리아(Mesh Korea) : IT 기반의 물류 스타트업이다. B2B 물류 서비스인 메쉬프라임과 B2C 음식배달 서비스인 부탁해, 그리고 양측 모두를 지원하는 물류 솔루션이자 인프라인 부릉을 운영하고 있다. 대표는 유정범이다.
㈜지슨(GITSN) : 무선 백도어 방지 기술 등을 개발하는 보안 전문 기업이다. 무선을 통해 보안 취약점에 접속, 망분리 정책을 무력화하는 무선 백도어를 방지하는 솔루션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대표는 한동진이다.
케이에스티일렉트로닉스㈜(KST Electronics) : 교통의 흐름을 통합·확장해 네트워크로 만드는 회사인 케이에스티홀딩스의 자회사이다. 케이에스티홀딩스가 마카롱이란 이름 아래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중 전기차 개발 사업 마카롱미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는 김종배이다.
㈜엑셈(EX-EM) : 인공지능,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및 앱 성능 관리 기업이다.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기술을 탑재한 통합 IT 운영관리 솔루션인 엑셈AI옵스와 클라우드 환경의 대규모 IT 인프라와 서비스를 통합 관제하는 솔루션 인터맥스 클라우드를 개발했다. 대표는 조종암이다.
나무기술㈜ : 클라우드 플랫폼 전문기업이다. 기업의 클라우드 전환과 마이크로 서비스를 원활하게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중심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칵테일 클라우드를 개발했다. 대표는 정철이다.
아이콘(ICON) : 인터체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암호화폐이다. 한국에서 탄생하여 글로벌 메이저 코인 반열에 오른 첫 사례로, 초연결성을 표방하여 공공기관, 기업, 대학교, 금융, 병원 등 다양한 커뮤니티를 넘나들면서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이콘루프 대표이사는 김종협이다.
앤드어스체인(Anduschain) : 기존 합의 알고리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개발한 deb 합의 알고리즘을 이더리움 플랫폼에 접목시킨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앤드어스에서 개발하였으며 대표이사는 정용협이다.
로제우스(Rozeus) : 블록체인 기반의 미디어 산업에 최적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미디어 생산자들이 독립적이고 공평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투명한 보상 체계를 구축해서 생산자, 소비자가 납득하는 보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로제우스를 개발한 비플라이소프트㈜ 대표이사는 임경환이다.
디코인(Dcoin) : 암호자산 및 파생상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금융권 수준의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스위스 추크에 본사를 두고 있고, 한국에서 비즈니스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상위 30위권의 글로벌 거래소이다.
오아스체인(OAS chain) :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3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오아스체인의 티커는 OAS이다. 오아스체인은 기존의 퍼블릭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보안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오아스체인을 개발한 회사는 ㈜엔비트이고, 대표이사는 이상수이다.
㈜지오텍홀딩스(Giotech Holdings) : 블록체인 기반의 신개념 포털 알지오(Allgo)와 알롬(Alrome)이라는 웹브라우저, 블록체인 기반의 블록 도메인을 개발하여 블록 도메인 거래소를 선보인 블록체인 개발업체이다. 대표는 박은수이다.
오아시스블록(OasisBloc) : 기존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체인들 간 호환성을 높여 데이터 거래에 최적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한국의 ㈜더블체인(Doublechain)이 개발했다. 대표이사는 전삼구이다.
㈜오퍼스엠(OPUS⋅M) : 2019년 10월에 설립된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다양한 응용솔루션 및 서비스 개발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설립된 스타트업이다.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창업자 겸 대표이사는 이진석이다.
소다플레이(SODA PLAY) : ㈜몬스터큐브에서 개발한 위치 기반 라이프스타일 디앱이다. 자체 발행하는 소다코인(SODAC)과 소다토큰(SODAT)을 실생활에서 편리하게 결제 및 송금할 수 있다. 대표이사는 유재범이다.
컬러코인(Colorcoin) : 개발자와 사용자가 보다 쉽게 개발하고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디앱 스토어'라는 슬로건 아래 '1초 이내 거래확정'과 '초당 3천건'을 처리하는 합의 알고리즘인 프리즘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이사는 보스코인을 만들었던 박창기이다.
갭스(GAPS) : 집단지성을 기반으로 예측에 관한 논쟁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인공지능에 지속적으로 학습시켜 미래에 있을 이벤트에 대한 예측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이다. 대표이사는 송병훈이다.
프로비트(Probit) : 여러 국가에서 로컬 법정화폐를 받는 거래소들을 연동하는 코인 대 코인(C2C)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프로빗'이라고도 쓴다. 2018년에 설립되었다. 초당 150만건 이상의 주문을 매칭할 수 있는 빠른 처리속도와 디지털 자산의 95% 이상을 콜드월렛에 저장함으로써 안전성을 보장한다. 대표자는 도현수이다.
홍익대학교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학교법인 홍익학원 산하의 4년제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서울캠퍼스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있는 세종캠퍼스로 이루어져 있다. 설립 이념은 단군의 홍익 인간으로 자주·창조·협동을 교훈으로 산업과 예술이 만나는 대학을 지향한다.
에스케이텔레콤㈜ : 에스케이그룹 계열의 이동통신 서비스 기업이다. 주요 사업은 이동전화, 유무선 통합 포털, 모바일 멀티미디어, 엠커머스, 글로벌 로밍, 네트워크 관련 서비스 등이다. 대표이사는 박정호이다.
㈜그린카(Green Car) : 2011년 국내 최초로 카셰어링 서비스를 도입한 롯데그룹 계열의 카셰어링 서비스 업체이다. 전국적으로 3,500여 곳에 7천여 대의 차량을 운영 중인 대형 업체로서 나눔카 사업을 선도하고 있다. 대표는 김상원이다.
㈜더스윙(The Swing) : 스윙(SWING) 앱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킥보드를 대여하고 반납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이다. 전동킥보드를 시작으로 향후 승용차가 아닌 모든 것을 이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를 통해 차를 위한 도시가 아닌, 사람을 위한 도시를 만들고자 한다. 대표는 김형산이다.
㈜카카오모빌리티(Kakao mobility) : 카카오택시, 카카오대리, 카카오내비 등 스마트 모빌리티 사업을 영위하는 ㈜카카오의 자회사이다. 택시 산업과의 상생을 도모하고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카카오바이크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대표는 류긍선, 정주환이다.
2019년도 블록체인 규제개선 세미나(Approach To Deregulation On The Blockchain Industry Of Korea)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이 후원하는 행사로, 블록체인 기술의 전(全) 산업 분야 활용·확산을 가로막는 규제를 사전에 발굴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 마련하기 위해 만들어진 세미나이다. 이 행사를 위해 2019년 4월부터 "블록체인 규제개선 연구반 2기"를 운영했다. 이번 행사의 목적은 2019년도 블록체인 규제개선 세미나를 통해 규제개선 연구반의 법제도 및 규제 개선방안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2019년 12월 17일(화) 10:00 ~ 18:00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317호에서 개최되었다.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페스티벌 2020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지디넷코리아가 주최하고,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페스티벌 조직위원회가 주관한 행사로, 4차 산업혁명의 미래 및 지속적인 성장 전략을 마련하는 산업, 지식, 체험이 융합된 최대규모의 종합 산업 박람회이다. 인공지능,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자율자동차, 스마트시티, 로봇 등 각 분야별 사업관으로 구성돼 있으며 550개의 부스가 운영되었다. 이번 행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성과 공유와 비즈니스 교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2019년 12월 17일(화) ~ 19일(목) 09:00 ~ 17:00까지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 1층 A홀에서 개최되었다. 각 분야 중 ㈜해시넷이 주최하는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은 블록체인 분야의 하위 행사로, 2019년 12월 19일 9시부터 1시까지 라운지 A에서 ㈜해시넷(대표: 서창녕)이 진행했다.
독일 공학한림원(Acatech) : 독일 과학 기술의 이익과 국내외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독일의 학술연구기관이다. 독일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독일 정부와 대중에게 공학 기술 정책 문제에 대해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 증거에 기초한 자문을 제공한다.
독일연방경제에너지부(BMWi) : 산업의 투자, 디지털 및 교통 인프라, 에너지 개혁 등을 담당하는 독일의 정부 부처이다. 정책 및 예산 관련 사안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 파트너들과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독일 산업의 수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총체적 변화에 대응하여 대한민국 정부의 국가전략과 정책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고, 부처 간 정책을 조정하는 대통령 직속 기구이다. 위원장은 장병규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학기술의 진흥을 위한 기본정책을 수립하고 기술협력 및 원자력, 기타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기존의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를 하나로 합쳐서 만든 부서이다. 장관은 최기영이다.
육군교육사령부 : 현재 및 미래의 전장에서 전승을 보장할 수 있는 정예 육군양성을 위해 병, 부사관, 준사관 및 장교에 이르는 전 신분별 교육을 담당하는 육군의 핵심 교육기관인 동시에 육군의 미래 교리와 교육훈련을 개발하는 본부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정보, 통신, 전자, 방송 및 성과 관련 융·복합기술 분야의 산업원천 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을 통해 국가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원장은 김명준이다.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 데이터베이스산업의 지원․육성으로 일반 국민의 정보 이용 활성화 촉진을 목적으로 1993년 1월 28일 설립된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의 공공기관이다. 원장은 민기영이다.
행정안전부 : 대한민국의 안전과 재난에 관한 정책의 수립·총괄·조정, 법령 및 조약의 공포, 정부조직과 정원, 행정 능률, 전자정부 운영, 지방자치제도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장관은 진영이다.
국토교통부 : 국토종합계획의 수립·조정, 국토의 보전·이용 및 개발, 도시·도로 및 주택의 건설, 해안·하천 및 간척, 육운·철도 및 항공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장관은 김현미이다.
타다 : 2018년 출시된 대한민국의 렌터카 서비스이자 모빌리티 플랫폼이다. 소비자가 앱으로 자동차를 부르면 운전기사가 승객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데려다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출시 이후 빠르게 성장했으나 택시업계는 타다 서비스가 기사들의 생존권을 위협한다며 퇴출을 요구하고 있다. 대표는 이재웅이다.
라온피플㈜(Laon People) : 인공지능 기반의 비전 검사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카메라 모듈 검사기를 제조하고 인공지능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머신 비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는 이석중이다.
마드라스체크㈜(Madras check) : 기업용 협업 솔루션 플로우(flow)를 서비스하는 업체이다. 해외 협업 툴과의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괄적 연동형 서버(SaaS) 대신 사용자 맞춤형 서버(on-premise)를 제작하여 대기업들이 채택하면서 빠르게 입소문을 타고 있다. 대표는 이학준이다.
㈜유라이크코리아(uLikeKorea) : 각종 가축질병 빅데이터를 5억 건 이상 보유한 세계 유일한 가축헬스케어 솔루션 업체이자 스마트축산 전문기업이다. 2015년 국내 최초로 경구투여형 축우 헬스케어 통합서비스인 라이브케어(LiveCare)를 선보였다. 대표는 김희진이다.
㈜한컴위드 : 차세대 보안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자체 기술로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한컴 에스렛저와 20여 년간 축적된 정보보안 기술 노하우를 접목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퀵서비스 플랫폼 말랑말랑 아니벌써를 출시했다. 대표는 노윤선이다.
㈜머니브레인(Money Brain) : 대화형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학습자와 인공지능 튜터가 실시간으로 대화를 주고받으며 영어회화 실력을 향상시키는 앱 스픽나우를 개발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영상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인공지능 분야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자 한다. 대표는 장세영이다.
㈜뤼이드(Riiid) : 교육 콘텐츠 유통 혁신을 위한 에듀테크 회사이다. 객관식 시험 영역에 특화된 머신러닝 기술을 연구·개발하여, 머신러닝 기반의 1:1 맞춤형 학습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의 문제풀이를 분석하여 수준에 맞는 학습을 제공하는 산타토익을 개발했다. 대표는 장영준이다.
인텔리콘연구소(Intellicon) : 법률 자연어처리 및 법률 추론 엔진을 개발한 인공지능 전문 연구소이다. 국내 최초 법률 인공지능 시스템인 아이리스엔(iLIS-N)과 지능형 법률 검색 내비게이션 시스템 유렉스(U-LEX)를 개발했다. 대표는 임영익이다.
㈜메쉬코리아(Mesh Korea) : IT 기반의 물류 스타트업이다. B2B 물류 서비스인 메쉬프라임과 B2C 음식배달 서비스인 부탁해, 그리고 양측 모두를 지원하는 물류 솔루션이자 인프라인 부릉을 운영하고 있다. 대표는 유정범이다.
㈜지슨(GITSN) : 무선 백도어 방지 기술 등을 개발하는 보안 전문 기업이다. 무선을 통해 보안 취약점에 접속, 망분리 정책을 무력화하는 무선 백도어를 방지하는 솔루션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대표는 한동진이다.
케이에스티일렉트로닉스㈜(KST Electronics) : 교통의 흐름을 통합·확장해 네트워크로 만드는 회사인 케이에스티홀딩스의 자회사이다. 케이에스티홀딩스가 마카롱이란 이름 아래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중 전기차 개발 사업 마카롱미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는 김종배이다.
㈜엑셈(EX-EM) : 인공지능,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및 앱 성능 관리 기업이다.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기술을 탑재한 통합 IT 운영관리 솔루션인 엑셈AI옵스와 클라우드 환경의 대규모 IT 인프라와 서비스를 통합 관제하는 솔루션 인터맥스 클라우드를 개발했다. 대표는 조종암이다.
나무기술㈜ : 클라우드 플랫폼 전문기업이다. 기업의 클라우드 전환과 마이크로 서비스를 원활하게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중심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칵테일 클라우드를 개발했다. 대표는 정철이다.
아이콘(ICON) : 인터체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암호화폐이다. 한국에서 탄생하여 글로벌 메이저 코인 반열에 오른 첫 사례로, 초연결성을 표방하여 공공기관, 기업, 대학교, 금융, 병원 등 다양한 커뮤니티를 넘나들면서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이콘루프 대표이사는 김종협이다.
앤드어스체인(Anduschain) : 기존 합의 알고리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개발한 deb 합의 알고리즘을 이더리움 플랫폼에 접목시킨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앤드어스에서 개발하였으며 대표이사는 정용협이다.
로제우스(Rozeus) : 블록체인 기반의 미디어 산업에 최적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미디어 생산자들이 독립적이고 공평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투명한 보상 체계를 구축해서 생산자, 소비자가 납득하는 보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로제우스를 개발한 비플라이소프트㈜ 대표이사는 임경환이다.
디코인(Dcoin) : 암호자산 및 파생상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금융권 수준의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스위스 추크에 본사를 두고 있고, 한국에서 비즈니스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상위 30위권의 글로벌 거래소이다.
오아스체인(OAS chain) :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3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오아스체인의 티커는 OAS이다. 오아스체인은 기존의 퍼블릭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보안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오아스체인을 개발한 회사는 ㈜엔비트이고, 대표이사는 이상수이다.
㈜지오텍홀딩스(Giotech Holdings) : 블록체인 기반의 신개념 포털 알지오(Allgo)와 알롬(Alrome)이라는 웹브라우저, 블록체인 기반의 블록 도메인을 개발하여 블록 도메인 거래소를 선보인 블록체인 개발업체이다. 대표는 박은수이다.
오아시스블록(OasisBloc) : 기존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체인들 간 호환성을 높여 데이터 거래에 최적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한국의 ㈜더블체인(Doublechain)이 개발했다. 대표이사는 전삼구이다.
㈜오퍼스엠(OPUS⋅M) : 2019년 10월에 설립된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다양한 응용솔루션 및 서비스 개발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설립된 스타트업이다.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창업자 겸 대표이사는 이진석이다.
소다플레이(SODA PLAY) : ㈜몬스터큐브에서 개발한 위치 기반 라이프스타일 디앱이다. 자체 발행하는 소다코인(SODAC)과 소다토큰(SODAT)을 실생활에서 편리하게 결제 및 송금할 수 있다. 대표이사는 유재범이다.
컬러코인(Colorcoin) : 개발자와 사용자가 보다 쉽게 개발하고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디앱 스토어'라는 슬로건 아래 '1초 이내 거래확정'과 '초당 3천건'을 처리하는 합의 알고리즘인 프리즘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이사는 보스코인을 만들었던 박창기이다.
갭스(GAPS) : 집단지성을 기반으로 예측에 관한 논쟁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인공지능에 지속적으로 학습시켜 미래에 있을 이벤트에 대한 예측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이다. 대표이사는 송병훈이다.
프로비트(Probit) : 여러 국가에서 로컬 법정화폐를 받는 거래소들을 연동하는 코인 대 코인(C2C)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프로빗'이라고도 쓴다. 2018년에 설립되었다. 초당 150만건 이상의 주문을 매칭할 수 있는 빠른 처리속도와 디지털 자산의 95% 이상을 콜드월렛에 저장함으로써 안전성을 보장한다. 대표자는 도현수이다.
홍익대학교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학교법인 홍익학원 산하의 4년제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서울캠퍼스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있는 세종캠퍼스로 이루어져 있다. 설립 이념은 단군의 홍익 인간으로 자주·창조·협동을 교훈으로 산업과 예술이 만나는 대학을 지향한다.
에스케이텔레콤㈜ : 에스케이그룹 계열의 이동통신 서비스 기업이다. 주요 사업은 이동전화, 유무선 통합 포털, 모바일 멀티미디어, 엠커머스, 글로벌 로밍, 네트워크 관련 서비스 등이다. 대표이사는 박정호이다.
㈜그린카(Green Car) : 2011년 국내 최초로 카셰어링 서비스를 도입한 롯데그룹 계열의 카셰어링 서비스 업체이다. 전국적으로 3,500여 곳에 7천여 대의 차량을 운영 중인 대형 업체로서 나눔카 사업을 선도하고 있다. 대표는 김상원이다.
㈜더스윙(The Swing) : 스윙(SWING) 앱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킥보드를 대여하고 반납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이다. 전동킥보드를 시작으로 향후 승용차가 아닌 모든 것을 이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를 통해 차를 위한 도시가 아닌, 사람을 위한 도시를 만들고자 한다. 대표는 김형산이다.
㈜카카오모빌리티(Kakao mobility) : 카카오택시, 카카오대리, 카카오내비 등 스마트 모빌리티 사업을 영위하는 ㈜카카오의 자회사이다. 택시 산업과의 상생을 도모하고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카카오바이크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대표는 류긍선, 정주환이다.
2019 블록체인 진흥주간(2nd Blockchain Grand Week)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공동주관하는 블록체인 행사이다. 2019년 12월 16일(월) 13:00 ~ 18일(수) 18:00 까지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COEX) 그랜드볼룸(102호~104호 및 로비)에서 개최되었다. 본 행사는 블록체인 콘퍼런스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진행한 시범사업 전시 등 좋은 강연과 체험 가능한 다양한 볼거리들이 준비되었다.
엄경순 :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약 7년간 한국 IBM 교육센터에서 DB2(IBM의 데이터관리시스템) 강사로 일하며 국내 금융, 제조 등 각 산업 군의 경험을 쌓았다. 그후 2017년 초, 한국 IBM 역사상 최초 여성 최고기술책임자(CTO)가 되었다. 현재, IBM 전무로 활동하고 있다.
박재현 : 포항공과대학에서 DBMS를 전공 후 현대전자 S/W 연구소에서 ODBMS, OLTP를 개발했다. 현재는 블록체인과 이더리움, 암호화폐, ICO, 공유경제와 핀테크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를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블록체인 연구소인 람다256의 연구소장이며 람다256의 대표를 맡고있다.
이영주 : 1994년 2월 성균관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후, 텍사스 대학교 MBA를 수료했다. 이후 버팔로 뉴욕 주립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수료한 후 2012년부터 현재까지 서강대학교 교수직을 맡고 있다.
박지수 : 서강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해, 현재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박사과정 수료를 앞두고 있다. 그는 프리랜서로 일하며 여러 ICO 프로젝트에 참여하다가 블록체인 보안 시장의 기회를 엿보고 창업했다. 현재 블록체인 보안 전문 회사 수호(Sooho)의 대표이다.
유진호 : 고려대 수학과 학사, 고려대 통계학과 석사, 고려대 정보경영공학과 박사 학위를 수료 후, 1993년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약 6년간 재직했다. 그 후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정보보호학회, 한국정보처리학회 등 다양한 기관을 거치며 경력을 쌓았고 현재 상명대학교에서 경영학부 교수직을 맡고 있다.
이희조 : 포항공대(POSTECH)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포항공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지난 2000년부터 2001년까지 미국 퍼듀대학교 컴퓨터학과와 보안센터인 CERIAS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인터넷 보안에 관해 연구를 수행했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안철수 연구소에서 보안 분야 최고기술책임자(CTO)를 역임해 통합보안제품의 기획과 개발을 담당했으며 2004년부터 현재까지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9 NIPA 블록체인 성과공유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하는 블록체인 행사이다. 2019년 12월 18일(수)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코엑스 컨퍼런스룸 E에서 개최되었다. 이 행사는 2019년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수행한 블록체인 전문기업 육성사업의 사업성과를 공유하고 관련 사업의 대외 인지도를 제고하자는 취지를 가지고 진행되었다.
EY한영(Ernst&Young 한영) : EY(Ernst&Young) 글로벌 조직의 한국 회원법인이다. 약 2,000명의 전문가가 강력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축적된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며, 품질에 대한 굳건한 신념을 가지고 탁월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는 서진석이다.
㈜디지털존 : 영상재생기, 전자증명발급솔루션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이다. 2003년 최초로 자립형 영상재생기를 기획·개발하여 디지털티비 시연시장이라는 틈새시장을 창출했으며, 2012년 국내 1위의 시장지위를 가지고 있는 전자증명발급솔루션 사업을 인수하여 해당 사업에서 큰 성장을 이뤘다. 대표이사는 심상원, 전정우이다.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 국가전자무역 인프라 구축, 운영 및 관련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설립된 한국무역협회의 자회사이다. 2000년 이후 공인인증서, 공인전자문서센터 등 전자거래의 기본 인프라 구축과 관련 사업도 수행하고 있다. 사장은 김용환이다.
㈜샌드스퀘어 : 블록체인 기술의 상용화를 추구하는 블록체인 원천기술 보유 기업이다. 최대 14,000TPS의 빠른 속도와 무한한 디앱 확장성을 장점으로 하는 블록체인 메인넷 프로젝트 플레타(Fleta)를 개발하고 있다. 대표는 박승호이다.
세종텔레콤㈜ : 대한민국의 기간통신사업 회사이다. 유 ·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결제솔루션 '세종페이', 보안솔루션 '트로이컷'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블록체인·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의 스마트 기술 확보와 신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회장은 김형진이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 정보통신산업의 육성, 발전을 위해 소프트웨어 기술진흥 및 품질관리, 전문성 향상, 전자거래 및 이러닝(e-learning) 산업의 육성, 발전을 지원하는 준정부기관이다. 원장은 김창용이다.
㈜마크애니(MarkAny) : 문서 위변조 방지 등 보안 솔루션을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이다. 2013년부터 블록체인 개발에 돌입, 키 없는 디지털 서명을 발표했다. 이후 10여 개가 넘는 블록체인 특허와 국책사업, 블록체인 제품군을 내놓으며 관련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대표는 최종욱이다.
메디블록(Medibloc) :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의료정보 통합관리 플랫폼이다. 메디블록을 통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의료정보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개인이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메디블록 기반으로 작동하는 암호화폐를 메디토큰(Medi Token)이라고 부른다. 현직 의사 출신인 이은솔과 고우균이 공동 창시했다.
㈜메이크스타 : 크라우드펀딩 기반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플랫폼이다. 한류 스타와 전 세계 팬들을 연결하여 팬들에게는 스타와 소통하고 콘텐츠 제작과정에 참여하는 특별한 경험을, 스타에게는 글로벌 팬들을 만다고 해외 진출의 기회를 제공한다. 대표는 김재면이다.
블록펫 : 실질적인 보상시스템을 갖춘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 미디어 펫 커뮤니티 플랫폼이다. 반려동물 정보의 탈중앙화, 콘텐츠 가치의 정당한 재분배를 통해 반려산업의 건전한 성장과 성숙한 반려문화의 정착을 목적으로 한다. 대표이사는 박희근이다.
㈜세이정보기술 : 클라우드 네트워크 컴퓨팅 솔루션과 비즈니스 스토리지 솔루션을 공급하는 업체다. 블록체인 기반의 친환경 농산물 유통 플랫폼을 개발하여, 서울 도농상생, 세종 공공급식, 충남 학교급식 등 식자재 유통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대표는 최홍철이다.
㈜유피체인 : 블록체인 전문 IT 개발자로 구성된 블록체인 전문 기술기업이다. 유피체인의 전신인 유나이트플러그는 2011년에 설립되어 다양한 서비스 및 솔루션을 개발한 후 블록체인 사업이 고도화 됨에 따라 2018년에 블록체인 특화 법인으로 유피체인을 설립하였다. 대표는 류승범이다.
㈜이노트리 : IT 통합 서비스 업체이다. 효율적인 데이터 통합을 위해 인터페이스의 간소화와 유지보수 비용절감 및 비즈니스 최적화를 지원하는 데이터 통합 솔루션인 이노쿼츠(InnoQuartz)를 개발하고 있다. 대표는 김병근이다.
2019 핀테크 & 블록체인 채용설명회(2019 Fintech & BlockChain Recruitin Day)는 한국핀테크산업협회, 한국핀테크지원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과 공동으로 주관하는 블록체인 행사이다. 2019년 12월 18(수) 오전 12시부터 18시까지 코엑스 그랜드볼룸 102호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설명회의 목적은 핀테크 분야 구직자와 채용 수요가 있는 핀테크 기업 및 금융기관 간 만남의 장을 마련하여 업계 인력난 해소 및 청년 취업률 제고를 지원하는 것이다. 핀테크기업 및 금융사 핀테크 관련 부서의 인사 담당자를 초청하여 기업소개, 취업자 질의 토크쇼, 모의면접, 컨설팅 등을 진행했다.
국민은행(國民銀行, Kookmin Bank) : 1963년 2월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은행이자 KB금융그룹의 계열사이다. KB국민은행이라고도 한다. 주요 사업은 은행업무, 신탁업무, 신용카드 업무 등이다. 대표자는 허인이다.
DB손해보험(DB Insurance) : DB그룹 계열의 손해보험회사이다. 1962년 3월 한국자동차보험공영사로 창립하여 1968년 11월 한국자동차보험㈜으로 법인전환을 하였고, 2017년 11월 DB손해보험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주요 사업은 손해보험 및 재보험의 계약 체결 등이다. 대표이사로는 김정남이 있다.
카카오페이(KakaoPay) : 현금이나 지갑이 없는 삶(cashless and walletless)을 넘어 어렵고 번거로운 기존의 금융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금융 이포트리스(effortless)를 지향하는 생활금융 플랫폼으로 카카오톡 앱을 통해 결제, 송금, 멤버십, 청구서, 인증 등을 제공하는 종합 핀테크 서비스이다. 대표이사는 류영준이다.
페이코(PAYCO) : 미리 결제수단을 등록해두고 등록한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하는 간편결제 서비스이다. 송금, 금융정보 조회, 비대면 채널링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결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지원하며,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이용자 모두 페이코 앱을 다운받아 ID만 등록하면 사용할 수 있다. 대표는 정연훈이다.
㈜글로벌머니익스프레스(GME REMITTANCE) : 말레이시아 해외투자법인인 원스피어(OneSphere)사와 한국측의 합작으로 주식회사 글로벌머니익스프레스가 2016년 8월 30일 설립되었다. 2017년 8월에 기획재정부 허가를 받은 합법적인 소액해외송금 회사로서 2017년 10월 영업을 시작하여 현재 110개국으로 송금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이사는 성종화(John Sung)이다.
나이스비즈니스플랫폼(NICEabc) : 모든 기업을 연결하는 P2P 금융플랫폼이다. 국내 최대 금융인프라그룹인 나이비스그룹의 지주회사인 ㈜나이비스홀딩스의 자회사로 2019년 4월 5일에 설립된 핀테크금융플랫폼 전문기업이다. 대표는 최정환이다.
모자이크 어드바이저리(MOSAIC ADVISORY) : 직장인의 개인 맞춤형 연말정산 절세관리와 합리적 소비관리를 통하여 실질적 소득증가 효과를 가져다 주는 통합 자산관리 서비스이다. '절세미인'이라고도 불린다. 대표는 조성우이다.
㈜블록체인기술연구소(IBCT) : 2018년에 설립된 회사로 자본금 1억원, 매출액 15억~20억, 사원수 14명 규모의 블록체인 스타트업 형태의 기업이다. 블록체인 플랫폼인 이오스크롬(EOS Chrome)을 만든 회사이다. IBCT(Institute of Blockchain Technology)라고도 불리며, 대표는 이정륜(Martin Lee)이다.
에셋플러스자산운용㈜(ASSETPLUS MANAGEMENT) : 국내 대표 가치투자 1세대로 꼽히는 강방천 회장이 이끄는 독립계 자산운용사이다. 1999년 투자자문사로 시작해 2008년 6월 자산운용사로 전환하고, 에셋플러스 리치투게더 펀드를 출시했다. 또한, 냉철한 판단력과 장기적인 안목으로 운용 능력을 인정받는 주식전문가 집단이다. 대표는 양제신이다.
㈜오퍼스엠(OPUSM) : 2019년 10월에 설립된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다양한 응용솔루션 및 서비스 개발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설립된 스타트업이다. 단순히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구축 사업 및 컨설팅을 수행하는 회사가 아닌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솔루션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회사이다. 창업자 겸 대표이사는 이진석이다.
유스비(useB) : 핀테크와 블록체인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자금세탁(Money Laundering)을 방지하며, 불법 자금전송과 테러 자금 조달 목적의 거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위험거래를 추적한다. 또한, 글로벌 자금세탁 방지 기준을 준수하며, 리스크를 관리한다. 대표는 김성수(Martin Kim)이다.
콰라소프트(QARAsoft) :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기반의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핀테크 스타트업이다. 딥러닝을 통한 30년 간의 금융시장 분석, 장세 전망 및 예측, 로보어드바이저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는 변창환이다.
㈜코인플러그(CoinPlug) : 2013년 10월 설립된 한국의 블록체인 전문 기업이다. 창업자 겸 대표이사는 어준선이다. 4억원의 엔젤투자를 유치하면서 회사를 창업했으며, 뛰어난 기술력을 기반으로 블록체인 관련 총 108건의 기술 특허를 보유한 한국 1위의 전문 기업으로 성장했다.
퍼블리시㈜(PUBLISH) : 2017년 11월에 설립된 언론 산업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솔루션 제공 업체이다. 콘텐츠 관리, 토큰화, 플랫폼 게임화, 정보 진위 확인 및 검증 등을 통해 언론사의 편집 및 재정 독립성 확보를 지향한다. 대표이사는 권성민이다.
㈜포어링크(FORE LINK) : 2001년 8월 1일에 설립하여 네트워크통합(NI)분야의 전문 기업으로 시작하여 네트워크 공사, 장비 설계와 구축 및 유지보수 서비스를 기업체, 관공서, 교육기관, 병원등의 고객사에게 제공하며 꾸준히 성장해왔다. 대표이사는 송기봉이다.
제로페이(ZERO Pay) : 소상공인의 가맹점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 서울시와 지자체, 금융회사, 민간 간편결제 사업자가 협력하여 도입한 공동 QR코드 방식의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이다.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이 운영하고 있다. 2018년 12월 20일 시범운영을 시작하였다.
한국엔에프씨(Hankook NFC) :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결제 및 인증 모듈을 제공하여 카드정보 및 개인정보를 입력 및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 스마트폰의 NFC기능을 활용하고, 대중교통 이용 시 교통카드를 터치하듯 스마트폰에 신용카드를 터치하여 전자결제 및 본인인증이 이루어지는 NFC간편결제와 NFC카드터치 본인인증 및 NFC를 활용한 N버튼과 NFC 슈퍼태그를 제공하는 핀테크 선도 기업이다. 대표이사는 황승익이다.
㈜헬로핀테크(Hello Fintech) :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정보 제공업이다. 투자자와 차입자를 직접 연결시켜주는 P2P금융플랫폼인 헬로펀딩으로 투자자에게는 새로운 투자채널을, 차입자에게는 합리적인 대출금리를 제공하는 회사이다. 대표는 남기중이다.
㈜더휴먼플러스(humanplus) : 2018년에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수원 영통구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사원수 30명 규모의 중소기업이다. 블록체인과 실물경제를 결합시키기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지불, 결제 플랫폼인 휴페이엑스(HUPAYX)를 개발했고, 신뢰를 바탕으로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표는 한용대이다.
위닝아이(Winning i) : 금융기관의 바이오인증 및 바이오 전자서명 솔루션 공급업체이다. 인도네시아 및 베트남 기업에 솔루션 수출하고, KB 스타터서 선정, K-Global 300, 다수 정부, 금융기관 경진대회 수상하였다. 대표이사는 정우영이다.
오정근 : 건국대학교 교수이다. 고려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석사 학위를, 영국 맨체스터대에서 경제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은행 외환연구팀장과 통화연구실장, 고려대 경제학 교수, 아시아금융학회장/한국국제금융학회장,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한국금융ICT융합학회 회장도 맡고 있다.
김형중 :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이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4년부터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2018년 메인넷 톺아보기 행사를 진행했고, 11월 IEO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발표했다.
유리예비치 박(Yuryevich PAK) : 우즈베키스탄 프로젝트 관리청 부청장이다. 관리청은 2017년 7월 24일 발효된 대통령령 UP-5120 『우즈베키스탄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시행 조치』에 의거 설립된 대통령 직속 국가기관이다.
보비르(Bobir) : 우즈베키스탄 국가지질광물자원위원회 위원장이다. 국가기질광물자원위원회는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직속 국가위원회로 우즈베키스탄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 전 지역의 지질조사 및 자원개발 규제기관이다.
최기영 : 과기정통부 장관이다. 대표적인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설계 전문가로 손꼽힌다.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와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 석사, 미 스탠퍼드 대학교 전기공학 박사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의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내장형 시스템 연구센터, 뉴럴프로세싱 연구센터의 센터장 등의 경력이 있다.
이해붕 : 금융감독원 부국장이다. 1999년 1월 2일에 설립된 "금융감독기구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 (1997.12.31 제정)에 의거 전 은행감독원, 증권감독원, 보험감독원, 신용관리기금 등 4개 감독기관이 통합되었다.
박항준 : 세한대학교 창업 전담 교수이다. 또한, 블록체인과 ICO의 국제표준을 정하기 위한 활동을 하는 글로벌조직인 한국블록체인기업진흥협회(KBEPA) 수석부회장이다. 한국블록체인산업협회는 블록체인 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블록체인 기술의 이용을 촉진시키기위해 설립되었다.
책임자
㈜티이에스코리아, 한국블록체인기업진흥협회,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우즈베키스탄 프로젝트 관리청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페스티벌 2020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지디넷코리아가 주최하고,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페스티벌 조직위원회가 주관한 행사로, 4차 산업혁명의 미래 및 지속적인 성장 전략을 마련하는 산업, 지식, 체험이 융합된 최대규모의 종합 산업 박람회이다. 인공지능,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자율자동차, 스마트시티, 로봇 등 각 분야별 사업관으로 구성돼 있으며 550개의 부스가 운영되었다. 이번 행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성과 공유와 비즈니스 교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2019년 12월 17일(화) ~ 19일(목) 09:00 ~ 17:00까지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 1층 A홀에서 개최되었다. 각 분야 중 ㈜해시넷이 주최하는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은 블록체인 분야의 하위 행사로, 2019년 12월 19일 9시부터 1시까지 라운지 A에서 ㈜해시넷(대표: 서창녕)이 진행했다.
독일 공학한림원(Acatech) : 독일 과학 기술의 이익과 국내외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독일의 학술연구기관이다. 독일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독일 정부와 대중에게 공학 기술 정책 문제에 대해 공공의 이익에 부합하는 증거에 기초한 자문을 제공한다.
독일연방경제에너지부(BMWi) : 산업의 투자, 디지털 및 교통 인프라, 에너지 개혁 등을 담당하는 독일의 정부 부처이다. 정책 및 예산 관련 사안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 파트너들과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독일 산업의 수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총체적 변화에 대응하여 대한민국 정부의 국가전략과 정책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고, 부처 간 정책을 조정하는 대통령 직속 기구이다. 위원장은 장병규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학기술의 진흥을 위한 기본정책을 수립하고 기술협력 및 원자력, 기타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기존의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를 하나로 합쳐서 만든 부서이다. 장관은 최기영이다.
육군교육사령부 : 현재 및 미래의 전장에서 전승을 보장할 수 있는 정예 육군양성을 위해 병, 부사관, 준사관 및 장교에 이르는 전 신분별 교육을 담당하는 육군의 핵심 교육기관인 동시에 육군의 미래 교리와 교육훈련을 개발하는 본부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정보, 통신, 전자, 방송 및 성과 관련 융·복합기술 분야의 산업원천 기술 개발 및 성과확산을 통해 국가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원장은 김명준이다.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 데이터베이스산업의 지원․육성으로 일반 국민의 정보 이용 활성화 촉진을 목적으로 1993년 1월 28일 설립된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의 공공기관이다. 원장은 민기영이다.
행정안전부 : 대한민국의 안전과 재난에 관한 정책의 수립·총괄·조정, 법령 및 조약의 공포, 정부조직과 정원, 행정 능률, 전자정부 운영, 지방자치제도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장관은 진영이다.
국토교통부 : 국토종합계획의 수립·조정, 국토의 보전·이용 및 개발, 도시·도로 및 주택의 건설, 해안·하천 및 간척, 육운·철도 및 항공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장관은 김현미이다.
타다 : 2018년 출시된 대한민국의 렌터카 서비스이자 모빌리티 플랫폼이다. 소비자가 앱으로 자동차를 부르면 운전기사가 승객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데려다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출시 이후 빠르게 성장했으나 택시업계는 타다 서비스가 기사들의 생존권을 위협한다며 퇴출을 요구하고 있다. 대표는 이재웅이다.
라온피플㈜(Laon People) : 인공지능 기반의 비전 검사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카메라 모듈 검사기를 제조하고 인공지능 딥러닝 알고리즘 기술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머신 비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는 이석중이다.
마드라스체크㈜(Madras check) : 기업용 협업 솔루션 플로우(flow)를 서비스하는 업체이다. 해외 협업 툴과의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괄적 연동형 서버(SaaS) 대신 사용자 맞춤형 서버(on-premise)를 제작하여 대기업들이 채택하면서 빠르게 입소문을 타고 있다. 대표는 이학준이다.
㈜유라이크코리아(uLikeKorea) : 각종 가축질병 빅데이터를 5억 건 이상 보유한 세계 유일한 가축헬스케어 솔루션 업체이자 스마트축산 전문기업이다. 2015년 국내 최초로 경구투여형 축우 헬스케어 통합서비스인 라이브케어(LiveCare)를 선보였다. 대표는 김희진이다.
㈜한컴위드 : 차세대 보안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자체 기술로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한컴 에스렛저와 20여 년간 축적된 정보보안 기술 노하우를 접목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퀵서비스 플랫폼 말랑말랑 아니벌써를 출시했다. 대표는 노윤선이다.
㈜머니브레인(Money Brain) : 대화형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학습자와 인공지능 튜터가 실시간으로 대화를 주고받으며 영어회화 실력을 향상시키는 앱 스픽나우를 개발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영상합성 기술을 이용하여 인공지능 분야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자 한다. 대표는 장세영이다.
㈜뤼이드(Riiid) : 교육 콘텐츠 유통 혁신을 위한 에듀테크 회사이다. 객관식 시험 영역에 특화된 머신러닝 기술을 연구·개발하여, 머신러닝 기반의 1:1 맞춤형 학습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의 문제풀이를 분석하여 수준에 맞는 학습을 제공하는 산타토익을 개발했다. 대표는 장영준이다.
인텔리콘연구소(Intellicon) : 법률 자연어처리 및 법률 추론 엔진을 개발한 인공지능 전문 연구소이다. 국내 최초 법률 인공지능 시스템인 아이리스엔(iLIS-N)과 지능형 법률 검색 내비게이션 시스템 유렉스(U-LEX)를 개발했다. 대표는 임영익이다.
㈜메쉬코리아(Mesh Korea) : IT 기반의 물류 스타트업이다. B2B 물류 서비스인 메쉬프라임과 B2C 음식배달 서비스인 부탁해, 그리고 양측 모두를 지원하는 물류 솔루션이자 인프라인 부릉을 운영하고 있다. 대표는 유정범이다.
㈜지슨(GITSN) : 무선 백도어 방지 기술 등을 개발하는 보안 전문 기업이다. 무선을 통해 보안 취약점에 접속, 망분리 정책을 무력화하는 무선 백도어를 방지하는 솔루션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대표는 한동진이다.
케이에스티일렉트로닉스㈜(KST Electronics) : 교통의 흐름을 통합·확장해 네트워크로 만드는 회사인 케이에스티홀딩스의 자회사이다. 케이에스티홀딩스가 마카롱이란 이름 아래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중 전기차 개발 사업 마카롱미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는 김종배이다.
㈜엑셈(EX-EM) : 인공지능, 빅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및 앱 성능 관리 기업이다.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기술을 탑재한 통합 IT 운영관리 솔루션인 엑셈AI옵스와 클라우드 환경의 대규모 IT 인프라와 서비스를 통합 관제하는 솔루션 인터맥스 클라우드를 개발했다. 대표는 조종암이다.
나무기술㈜ : 클라우드 플랫폼 전문기업이다. 기업의 클라우드 전환과 마이크로 서비스를 원활하게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중심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칵테일 클라우드를 개발했다. 대표는 정철이다.
아이콘(ICON) : 인터체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암호화폐이다. 한국에서 탄생하여 글로벌 메이저 코인 반열에 오른 첫 사례로, 초연결성을 표방하여 공공기관, 기업, 대학교, 금융, 병원 등 다양한 커뮤니티를 넘나들면서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이콘루프 대표이사는 김종협이다.
앤드어스체인(Anduschain) : 기존 합의 알고리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개발한 deb 합의 알고리즘을 이더리움 플랫폼에 접목시킨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앤드어스에서 개발하였으며 대표이사는 정용협이다.
로제우스(Rozeus) : 블록체인 기반의 미디어 산업에 최적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미디어 생산자들이 독립적이고 공평하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투명한 보상 체계를 구축해서 생산자, 소비자가 납득하는 보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로제우스를 개발한 비플라이소프트㈜ 대표이사는 임경환이다.
디코인(Dcoin) : 암호자산 및 파생상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금융권 수준의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스위스 추크에 본사를 두고 있고, 한국에서 비즈니스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으로 상위 30위권의 글로벌 거래소이다.
오아스체인(OAS chain) :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결합한 3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오아스체인의 티커는 OAS이다. 오아스체인은 기존의 퍼블릭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 사물인터넷 보안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오아스체인을 개발한 회사는 ㈜엔비트이고, 대표이사는 이상수이다.
㈜지오텍홀딩스(Giotech Holdings) : 블록체인 기반의 신개념 포털 알지오(Allgo)와 알롬(Alrome)이라는 웹브라우저, 블록체인 기반의 블록 도메인을 개발하여 블록 도메인 거래소를 선보인 블록체인 개발업체이다. 대표는 박은수이다.
오아시스블록(OasisBloc) : 기존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체인들 간 호환성을 높여 데이터 거래에 최적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한국의 ㈜더블체인(Doublechain)이 개발했다. 대표이사는 전삼구이다.
㈜오퍼스엠(OPUS⋅M) : 2019년 10월에 설립된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다양한 응용솔루션 및 서비스 개발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설립된 스타트업이다.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창업자 겸 대표이사는 이진석이다.
소다플레이(SODA PLAY) : ㈜몬스터큐브에서 개발한 위치 기반 라이프스타일 디앱이다. 자체 발행하는 소다코인(SODAC)과 소다토큰(SODAT)을 실생활에서 편리하게 결제 및 송금할 수 있다. 대표이사는 유재범이다.
컬러코인(Colorcoin) : 개발자와 사용자가 보다 쉽게 개발하고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디앱 스토어'라는 슬로건 아래 '1초 이내 거래확정'과 '초당 3천건'을 처리하는 합의 알고리즘인 프리즘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이사는 보스코인을 만들었던 박창기이다.
갭스(GAPS) : 집단지성을 기반으로 예측에 관한 논쟁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인공지능에 지속적으로 학습시켜 미래에 있을 이벤트에 대한 예측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이다. 대표이사는 송병훈이다.
프로비트(Probit) : 여러 국가에서 로컬 법정화폐를 받는 거래소들을 연동하는 코인 대 코인(C2C)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프로빗'이라고도 쓴다. 2018년에 설립되었다. 초당 150만건 이상의 주문을 매칭할 수 있는 빠른 처리속도와 디지털 자산의 95% 이상을 콜드월렛에 저장함으로써 안전성을 보장한다. 대표자는 도현수이다.
홍익대학교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학교법인 홍익학원 산하의 4년제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서울캠퍼스와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에 있는 세종캠퍼스로 이루어져 있다. 설립 이념은 단군의 홍익 인간으로 자주·창조·협동을 교훈으로 산업과 예술이 만나는 대학을 지향한다.
에스케이텔레콤㈜ : 에스케이그룹 계열의 이동통신 서비스 기업이다. 주요 사업은 이동전화, 유무선 통합 포털, 모바일 멀티미디어, 엠커머스, 글로벌 로밍, 네트워크 관련 서비스 등이다. 대표이사는 박정호이다.
㈜그린카(Green Car) : 2011년 국내 최초로 카셰어링 서비스를 도입한 롯데그룹 계열의 카셰어링 서비스 업체이다. 전국적으로 3,500여 곳에 7천여 대의 차량을 운영 중인 대형 업체로서 나눔카 사업을 선도하고 있다. 대표는 김상원이다.
㈜더스윙(The Swing) : 스윙(SWING) 앱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킥보드를 대여하고 반납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이다. 전동킥보드를 시작으로 향후 승용차가 아닌 모든 것을 이용한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를 통해 차를 위한 도시가 아닌, 사람을 위한 도시를 만들고자 한다. 대표는 김형산이다.
㈜카카오모빌리티(Kakao mobility) : 카카오택시, 카카오대리, 카카오내비 등 스마트 모빌리티 사업을 영위하는 ㈜카카오의 자회사이다. 택시 산업과의 상생을 도모하고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카카오바이크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대표는 류긍선, 정주환이다.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Hashnet Blockchain Festival)은 2019년 12월 19일(목)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COEX)에서 ㈜해시넷이 주최한 블록체인 행사이다. 이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공동주최하고, 지디넷코리아(ZDNet Korea)가 주관하는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페스티벌 2020》 행사 중 블록체인 분야의 하위 행사로 진행되었다. 본 행사의 소제목은 "미래를 여는 블록체인 기술"이다. 본 행사는 한국을 대표하는 아이콘, 오아시스블록 등 블록체인 개발업체, 암호화폐 거래소 등 12개 업체가 참여했다. 선착순 300명에게 점심 식권 1만원권을 무료로 제공했으며, 참가자 전원에게 코엑스에서 진행하는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페스티벌 2020》 전체 행사 1일 무료 입장권을 제공했다.
서창녕 : ㈜해시넷의 창업자 겸 대표이사이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로체스터 대학교 박사과정에서 게임이론을 공부했다. 1998년 인터넷 사업에 뛰어들어 ㈜아사달을 창업하고 대표이사로 일했다. 2018년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아사달의 자회사로 ㈜해시넷을 창업했다.
신근영 : 한국블록체인스타트업협회 회장이다. 누구나 발행할 수 있는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프트랜드(Giftland)의 대표이사이기도 하다. 한경닷컴에서 '신근영의 블록체인 알쓸신잡'이라는 콘텐츠를 작성하며 칼럼니스트로도 활동 중이다.
임효정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탈중앙화된 미디어 콘텐츠 유통 체계를 구축하는 로제우스(Rozeus)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비플라이소프트㈜의 최고전략책임자(CSO)이다. 미국 다트머스 대학교를 졸업했고, 전 4GRIT UX 연구원이었다.
정웅모 :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디코인(Dcoin)의 한국 본부장이다. 그는 엔씨소프트(NCSoft), 웹젠(Webzen), SK, CJ E&M, 넷마블, IGS 등 게임업계에서 근무하다가 넷마블 자회사인 IGS 사업부장을 마지막으로 현재 블록체인 업계에서 종사하고 있다.
이상수 :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3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인 오아스체인(OAS Chain)을 개발한 ㈜엔비트의 대표이사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통신업계에 발을 들여 여러 정보전자 기업에 몸담았다. 20대 중반부터 IT 사업을 직접 펼쳐왔으며 최근에는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 보안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박은수 : 디지털 자산화를 위한 플랫폼인 블록도메인을 만든 ㈜지오텍홀딩스의 대표이사이다. 13년간 한국 후지쯔에 재직했으며, 이후 한길소프트를 창업하여 소프트웨어 판매 및 불법복제를 관리했다. 또, 북리슨 전무로 오디오북 출판사업, 푸드서버코리아 창업, 알페이 창업, ㈜페이씽크 부사장을 역임했다.
전삼구 : 여러 블록체인들을 서로 연결하고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오라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오아시스블록(OasisBloc)을 개발하고 있는 ㈜더블체인의 대표이사(CEO)이다. 현대BS&C㈜의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암호화폐인 에이치닥(Hdac)을 공동 개발했다.
이진석 : ㈜오퍼스엠의 대표이사 겸 블로코(Blocko)의 어드바이저이다. 연세대학교 졸업 후, 미시건 공과주립대학교에서 컴퓨터과학을 공부했다. 분산 데이터베이스 개발자 출신으로 티맥스소프트(TmaxSoft)에서 추론 엔진을 개발했다. 그 후 아르고를 개발한 블로코의 기술이사(CTO) 및 공동대표를 역임했다.
유재범 : 실생활에서 편리하게 결제 및 송금할 수 있는 위치 기반 라이프스타일 디앱인 소다플레이(SODA PLAY)을 만든 ㈜몬스터큐브의 대표이사이다. 경희대학교 관광학과를 졸업했다. 1,800만 다운로드를 달성한 시럽테이블을 운영 중이며 에스케이텔레콤 빅데이터 파트너로서 활동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박창기 : 블록체인 플랫폼인 컬러코인(Colorcoin)의 대표이사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삼성그룹에서 근무하다가 팍스넷을 창업했다. 2017년 한국 최초의 ICO인 보스코인 프로젝트의 초대 대표이사를 맡았다. 이후 팍스데이터테크를 창업하여 컬러코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강형욱 : 집단지성을 통한 예측에 관한 논쟁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AI) 진화 플랫폼인 갭스(GAPS)를 개발한 ㈜플라이어스코퍼레이션의 기술이사(CTO)이다. 연세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했고, 은행 및 게임회사에서 기술이사로 근무했다. 현재 블록체인 기반의 인공지능 플랫폼 및 디앱들을 개발하고 있다.
도현수 : 암호화폐 거래소 프로비트(Probit)의 창업자 겸 대표이사이다. 서울대학교 전기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NYU Stern에서 MBA를 수료했다. 공학도 출신의 법조인으로서, 법무법인 김앤장에서 14년간 근무했다.
이지현 : 행사 사회자를 맡은 아나운서이다. 연세대학교 스포츠응용산업학과 출신으로, 스포티비(SpoTV) 아나운서를 맡고 있다. 피트니스 연고전 대회에서 피트니스 모델 여자 부문 3위를 수상하였으며, '연대 설현'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강연수 : 행사 주요인물들에 대한 인터뷰를 맡은 아나운서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학과 출신이다. 영어 및 중국어에 능통하며, 중국 상하이 희극학원에서 교환학생을 했고, 영어 아나운서를 맡은 경험이 있다.
조원희 : 법무법인 디라이트의 변호사이다. 그는 기술과 엔터테인먼트 영역에서의 소송과 자문 업무를 수행해 왔으며, 최근 들어서는 라이선싱, 매각, 인수합병(M&A), 조인트벤처(JV) 등 다양한 거래 업무를 담당했다. 또한 스타트업이나 벤처캐피탈(VC) 분야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미국 특허소송이나 ICC 중재 등 지적재산권 관련 국제 분쟁 업무에서도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강윤구 : 숭실대학교와 충남대학교 로스쿨을 졸업 후, 변호사로 재직했다. 현재, 법무법인 이랑의 대표 변호사이자 크라우드베이스(액셀러레이터) 이사를 맡고 있다.
엄순기 : 2016년에 설립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서비스 업체인 탈라스디에이의 대표이사이며, 그외에도 LG-EDS 시스템즈, 에이엠에스 솔루션, 스타벤코리아, 엑스블록시스템즈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정승채 : 2015년도에 한국 최초로 블록체인랩을 공동으로 설립하였다. 지난 20여년 간 약 30개의 스타트업 창업을 지원하였으며 전자지불, 전자보증, 인증, 송금에 대한 사업모델을 연구했다. 블록체인팩토리(Blockchain Factory)의 창업자이다.
Decentralized People's Awards 2019는 블록체인미디어연합, 토큰포스트, 이코노타임즈, 코인리더스가 공동 주최한 행사이다. 2019년 12월 20일(금) 오후 4시부터 저녁 9시까지 임피리얼 팰리스 서울 셀레나홀 7층에서 개최되었다. 토큰포스트(대표 권성민)는 블록체인 기술 개발과 혁신에 기여한 개인 및 기업의 성과를 기념하기 위해 Decentralized People's Awards 2019(DPA 2019)를 주최했다. 이번 행사는 각자의 영역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하고 혁신시킨 개인과 기업을 주목하고 조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시상은 블록체인 플랫폼, 공증 분야, 법조계, 지급결제 분야, 미디어, 소셜임팩트 등 총 14개 분야에서 이뤄졌다. 수상자 선정은 후보자 추천을 거쳐, 웹사이트를 통한 대중 투표(50%)와 심사위원단 심사(50%) 결과를 반영해 결정하였다. 심사위원단은 블록체인 업계에서 인정 받은 국내외 전문가 21명이 참여해 심사를 진행했다. 김형중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를 심사위원장으로, 박수용 한국블록체인학회장, 마이클 최 한국블록체인협회 부회장 등이 심사에 참여했다. 각 수상자에게는 트로피가 수여되었다.
곽진영(Kwak Jin-yong) : 이중위임지분증명(DDPoS)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인 시그마체인(Sigma Chain)의 창시자이다. ㈜싸이월드 개발책임자 출신으로 현재 시그마체인 기반의 SNS 사이트인 퓨처피아(Futurepia)를 개발하고 있다.
박승호 : 기존 이더리움과 이오스의 한계를 넘어서 빠른 속도와 안정성을 제공하는 플랫폼 암호화폐인 플레타(Fleta)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CEO)이다. 박승호 대표이사는 2018년 개발한 메인넷 프로젝트 플레타를 시작으로 2019년 플레타 프로토콜 정식 오픈 및 디앱 포털을 개방할 계획이다.
오재훈 : 람다256의 CTO이다. 두나무의 블록체인 기술 개발 자회사로 지난 3월 설립된 람다256은 컨소시엄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루니버스(Luniverse)를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기술 저변 확대 및 생태계 조성에 힘쓰고 있다.
제프 맥도날드(Jeff McDonald) : 넴(NEM) 재단의 공동 설립자이며 넴의 아포스티유(NEM Apostille) 시스템을 직접 개발하였다. 그리고 블록체인 기반 공증 서비스인 럭스태그(LUXTAG)의 CTO를 역임하고 있다.
박동휘 :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UCSD)에서 경제학과 경영 과학을 전공하고,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 선물 전달을 위한 암호화폐인 기프토(Gifto)를 만든 아시아 이노베이션 그룹의 한국지사장으로 근무했다. 현재, 코인플러그 이사를 맡고 있다.
김유경(Sabrina Kim, 사브리나 김) : 블루글로벌 파트너스 대표이사로 홍콩에서 인사이트 패션, 뉴욕, 중국에서 유칼립투스 국제 무역 등 국제적으로 경험한 업무 노하우로 암호화폐 지불 생태계를 형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데이비드 함(David Ham) : 삼성 블록체인 글로벌 비즈니스 책임자를 역임한 데이비드 함 대표는 현재 블록체인 기반 AR(증강현실) 광고 플랫폼 '인사이트(inxight)'를 개발한 스캐넷체인(Scanetchain)의 대표를 맡고 있다.
서창녕 : ㈜해시넷의 창업자 겸 대표이사이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로체스터 대학교 박사과정에서 게임이론을 공부했다. 1998년 인터넷 사업에 뛰어들어 ㈜아사달을 창업하고 대표이사로 일했다. 2018년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아사달의 자회사로 ㈜해시넷을 창업했다.
김가현(Vivian Kim) : 전남 CBS 아나운서를 시작으로 현재 문화뉴스 대중문화 칼럼니스트와 블록인프레스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블록인프레스는 국내외 관련 소식을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블록체인 전문 미디어이다.
성찬영 : 블록체인 기반 언론 미디어 플랫폼 퍼블리시㈜의 공동창립자 겸 공동대표이다. 퍼블리시는 가짜 뉴스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뉴스 검증에 활용하고 이를 언론 산업에 적용하는 등 새로운 미디어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석원(Lee Seok-won) : 한국 암호화폐 공식 유튜버로 활동중인 도리도리(DooriDoori)의 대표이사이다. 2017년부터 블록체인 커뮤니티 블로그와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으며, 후오비코리아(Huobi Korea), 아르고(Aergo), BXB 거래소 홍보대사로 활동 중이다.
구태언 : 법무법인 린의 테크앤로 부문 변호사이다.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자문위원, 금융감독원 블록체인 발전 자문위원, 부산광역시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법률자문단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케빈 아보시(Kevin Abosch) : 최초 크립토아트 아티스트로 스튜디오 케빈 아보시의 대표이사이다. 케빈 아보시가 촬영한 장미사진 포에버 로즈(Forever Rose)는 로즈라고 부르는 토큰을 활용해 소유권을 여러 주체가 분할해 공동 보유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임정빈(Im Jeong-bin) : 시사매거진의 부장으로, 비트코인을 비롯해 암호화폐가 주는 메세지와 장단점을 소개한 《돈의 미래 , 비트코인은 혁명인가 반란인가》를 저술 활동을 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연구와 개발, 청년 창업 기술 지원 및 컨설팅 활동을 하고 있다.
메리 마(马翼, Mary Ma) : 블록체인 기반 게임 퍼블리싱 플랫폼 믹스마블(MixMarvel)의 이사(CSO)이다. 믹스마블은 전세계 플레이어들과 개발자들이 만든 대규모 3D 가상 세계로 다양한 블록체인 게임과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개개인이 자기만의 게임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한다.
황정환 : 벤처캐피털(VC) 경력이 7년 이상으로, 창조경제 포함 약 200개 초기업체 투자를 진행했다. 현재 댑스토어(dAppstore)의 대표이사로서 댑(dApp) 생태계 조성과 블록체인 게임 산업 확장을 위해 활약하고 있다.
문경곤(Kay Mun) : 넥서스 레볼루션(NEXUS REVOLUTION)의 대표이사이다. 넥서스 레볼루션은 지난 2016년부터 사이버 보안 부문에서 다진 경험을 통해 각 블록체인 프로젝트와 사업이 리스크를 최소화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김형주 : 한국블록체인협단체연합회 회장으로서, 17대 국회의원과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을 역임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국제관계연구학과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산하의 세계경제와 국제관계연구소(IMEMO)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
블록페스타 2019 송년의 밤(Blockfesta 2019 Adieu) 블록미디어(Blockmedia)가 2019년을 마무리하며 한국 블록체인 산업 종사자, 일명 '블록체이너'들을 위해 개최한 아듀 블록페스타 2019 송년의 밤(Adieu Blockfesta 2019, X-Party in Korea) 행사이다. 2019년 12월 23일(월) 오후 3시부터 저녁 8시까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코엑스 2층에서 개최되었다.
DID포럼 창립 세미나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주제, 블록체인의 중요한 쟁점인 분산아이디(DID)에 대한 세계적인 흐름과 방향성을 논의하는 포럼인 DID포럼 창립준비위원회가 주최한 세미나이다. DID포럼은 분산아이디 분야에 대해 한국의 중소벤처기업 및 스타트업의 참여와 발전을 통해 신기술을 개발하고, 나아가 글로벌 표준화에 동참하기 위하여 결성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블록체인 및 분산아이디 분야의 산업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이번 행사는 분산아이디 기술 및 사업화 개발을 확산하고, 분산아이디 관련 교육과 국내외 표준화 활동에 참여하며, 회원 간의 협력 사업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기타 포럼을 통한 산학연관 활동을 추진하자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2019년 12월 27일(금)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2층 아이리스홀에서 개최되었다.
안성진 : DID포럼 회장이다. 블록체인팩토리와 칸델라체인의 대표이다. 서울대학교 응용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석사를 받았다. 미국 AT&T 벨연구소에서 유닉스 커널을 개발했고, 한국 현대전자 유닉스 서버 개발 총괄 이사를 지냈으며, 한국전자인증 사장 등을 역임했다.
정승채 : DID포럼 부회장이다. 2015년도에 한국 최초로 블록체인랩을 공동 설립했다. 지난 20여년 간 약 30개의 스타트업 창업을 지원하며 전자지불, 전자보증, 인증, 송금에 대한 사업모델을 연구하였다. 블록체인팩토리(Blockchain Factory)의 창업자이며 한국블록체인스타트업협회의 부회장이다.
최수혁 :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인 심버스(SymVerse)의 창시자 겸 대표이사(CEO)이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게임이론을 전공하여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근무했다.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겸임 교수이다. 2018년 ㈜심버스를 창업하고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2019 제2회 블록체인 산업 경제 연례대회(2019第二届区块链产业经济年会)는 2019년 12월 28일(토) 중국 베이징 국제금융박물관에서 '2020: 블록체인의 중요한 해를 예견한다'는 주제로 개최된 블록체인 콘퍼런스이다. 이 대회는 중국이동통신연합회, 블록체인전문위원회, 중관촌 빅데이터산업연맹, 중국전자상회 블록체인협회의 지도 아래 전 세계 선두의 블록체인 산업연구와 리서치 서비스 기관인 블록데이터(链塔智库)가 주최하고 톈허궈윈테크놀러지유한회사(天河国云科技有限公司), 스퀘어테크(square tech, 四块科技有限公司), 탠마페이얜테크놀로지유한회사(天马飞燕科技有限公司) 협찬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대회에는 국가 블록체인 관련 기관 지도자, 지방 정부 지도자, 전문가 학자, 블록체인 벤치마킹 업체, 언론계 대표 등 500여 명이 참석해 2019년 블록체인 산업의 발전맥락을 짚어 정리하고 2020년 산업착지에 대핸 추세를 전망했다. 블록데이터 설립자이자 최고경영자인 장샹(张翔)이 메인 스피커로서 국제 금융의 새 질서 수립, 중국의 디지털 경제 발전 경로, 블록체인 산업발전 착지 가이드 등 세 가지 차원에서 블록체인에 대한 이해와 관찰을 전반적으로 피력했다.
2019 한국 지역 블록체인 여성 리더십 포럼(Korean Blockchain Women's Leadership Forum)은 2019년 12월 31일(화) 한국 서울에서 에이101그룹(A101Group)과 비트데이터(BitData)가 공동주최한 블록체인 행사이다. 주제는 "2019 한국 블록체인 여자 리더십 포럼"이다. 한국의 블록체인협회, 기관 투자자, 여성 리더 CEO, 커뮤니티 KOL 등이 참석해 블록체인 시대하에서 한국 블록체인 트래픽의 발전과 투자로 가는 길에 대해 논의했다. 행사가 종료된 후 크립토 퀸스 파티가 비공개로 개최되었다.